ER모델을 관계 데이터 모델로 사상

WooBuntu·2021년 1월 13일
0

데이터베이스

목록 보기
15/16

ER모델의 개체 타입, 관계 타입, 속성을 관계 데이터 모델의 릴레이션으로 사상하는 과정은 다음의 7단계로 나뉜다.

개체 타입의 사상

1단계 : 강한(정규) 개체 타입

정규 개체 타입 E의 경우 대응하는 릴레이션 R을 생성한다

각 개체 타입의 일반 속성은 각각 새로 생성하는 릴레이션의 속성으로 표시하고, 기본키와 외래키는 PK나 FK등으로 표시한다

ex) 사원(사번, 이름)

2단계 : 약한 개체 타입

약한 개체 타입에서 생성된 릴레이션은 자신의 키와 함께 강한 개체 타입의 키를 외래키로 사상하여 자신의 기본키를 구성한다.

ex) 가족(사번(FK), 이름, 출생일)

관계 타입의 사상

3단계 : 이진 1:1 관계 타입

외래키에 NULL값이 덜 발생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1. 사원의 수 > 컴퓨터의 수

사원(사원번호, ...)
컴퓨터(관리번호, ..., 사원번호(FK))

  1. 사원의 수 < 컴퓨터의 수

사원(사원번호, ..., 관리번호(FK))
컴퓨터(관리번호, ...)

4단계 : 이진 1:N 관계 타입

학과(학과코드, ...)
학생(학번, ..., 학과코드(FK))

5단계 : 이진 M:N 관계 타입

양쪽 모두 다수의 대응 수를 가지므로 반드시 새로운 릴레이션(교차 테이블)을 생성해야 한다.

교수(사번, ...)
과목(과목코드, ...)
수업(사번, 과목코드, ...)

6단계 : N진 관계 타입

ER모델의 차수가 3 이상인 다진 관계 타입의 경우

학생(학번, ...)
강좌(강좌코드, ...)
강의실(호실, ...)
수강(학번, 강좌코드, 호실, ...)

다중값 속성의 사상

7단계 : 다중값 속성

속성의 개수를 알 수 없는 경우

R(KA, B)
RC(KA, C)

다중값 속성의 릴레이션 RC를 생성하고, 이 RC는 기존의 키와 함께 자신의 값이 모두 키로 지정되어야 한다

속성의 개수를 알 수 있고, 그 수가 적은 경우

R(KA, B, C1, C2, ..., Cn)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