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1.09.03 HTML

서재환·2021년 9월 3일
0

TIL

목록 보기
7/37

구조를 나타내는 요소

<header>
소개 및 탐색에 도움을 주는 콘텐츠를 나타낸다.
웹페이지 상단에 위치하며 navigation bar위에 보통 위치한다.

주의사항
header 내에 header를 넣을 수 없다.

<footer>
웹페이지 정보, 연관된 아이콘, 연락처, 저작권 관련 정보 등이 들어가는 태그이다.

<nav>
현재 페이지가 전체 페이지 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표시해준다.
한 페이지 내에서 탐색을 용이하게 해주는 부분 또한 네비게이션이라고 한다.
<aside>
별도로 구획을 지정해서 추가적인 부가적인 정보를 줄 때 사용한다. 

HTML code 만으로 구획이 구분 되는 것은 아니고 
CSS 스타일링을 통해 별도의 구획을 상정해서 aside 태그가 갖는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
<main>
body 태그 내 하나만 사용할 수 있다.
문서의 핵심 주제나 앱의 핵심 기능에 직접적으로 연결됐거나 확장하는 콘텐츠를 나타낼 때 사용.
<article>
독립적으로 구분해 배포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는 code이다. 
게시판과 블로그 글, 매거진이나 뉴스 기사 등이 있다.
article 안에 article 태그 및 section 사용 가능.
section 안에 article 태그 및 section 사용 가능.
그러나 최종적으로 시작하는 태그는 article 태그인 것을 알 수 있다.

<section>
article로 사용할 수 있다면 article 사용. 그렇지 않다면 section 사용
article 내에서 구분지어져 있는 문단을 구성하고자 할 때 section 태그를 사용해서 각각 나눌 수 있다.

목록과 표

<ol>
순위 및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목록을 나타낼 때 사용
정렬 목록이라고도 한다.
attribute로 type을 지정하면 숫자 뿐만 아니라 지정한 타입으로 설정되어 순서대로 표현된다.
type의 default는 숫자이다.

<ol type="A">                        A.a
  <li>a</li>                         B.b
  <li>b</li>                         C.c
  <li>c</li>
</ol>

<ol type ='A' start='3'>             C.a
  <li>a</li>                         D.b
  <li>b</li>                         E.c
  <li>c</li>
</ol>

<ol>
  <li>a</li>                         1.a
  <li value="3">b</li>               3.b
  <li>c</li>                         4.c
</ol>
<ul>
순서 없는 목록, 아이템들을 나열하고자 할 때 사용
비정렬 목록이라고도 한다.

아래와 같이 <ol><ul> 그리고 위 두 태그에 속하는 <li> (list item)을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

<ol>
  <li>ALPHA</li>  
  <ul>
    <li>A</li>                        
      <ul>
        <li>a</li>
      </ul>
  </ul>
  <li>BETA</li> 
</ol>

<dl> <dt> <dd> t(term), d(description)
term과 description에서 예측해 볼 수 있듯이 설명 목록을 작성할 때 해당 태그를 사용한다.

주의사항
dt와 dd의 형제로 div태그를 사용하면 안된다.
div 태그는 dl태그 안에서만 작성 될 수 있다.

<dl>
  <div>
    <dt>Name</dt>
    <dd>Godzilla</dd>
  </div>
  <div>
    <dt>Born</dt>
    <dt>Born</dt>
    <dt>Born</dt>
    <dd>1952</dd>
  </div>
  <div>
    <dt>Birthplace</dt>
    <dd>Japan</dd>
    <dd>Japan</dd>
    <dd>Japan</dd>
  </div>
</dl>
<table>
데이터를 행과 열로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보통 css나 grid를 통해 작성된다.

<table> <tr> <th> <td>

<table>
  <tr>
    <th scope="col">나라이름</th>
    <th scope="col">수도</th>
    <th scope="col">인구</th>
  </tr>
    
  <tr>
    <td scope="row">한국</td>
    <td>서울</td>
    <td>5100만</td>
  </tr>

  <tr>
    <td scope="row">미국</td>
    <td>워싱턴</td>
    <td>3억</td>
  </tr>

  <tr>
    <td scope="row">태국</td>
    <td>방콕</td>
    <td>6900만</td>
  </tr>
  
  <tr>
   <td scope="row">합계</td>
   <td  colspan="2">방콕</td>
   <td>6900만</td>
 </tr>
</table>

<thead> <tbody> <tfoot> 태그를 사용하여 markup 가능
부모태그로  기능하므로 CSS 스타일링 적용시 여러개 적용 가능하므로 스타일링이 용이

<table>
  <thead>
    <tr>
      <th scope="col">나라이름</th>
      <th scope="col">수도</th>
      <th scope="col">인구</th>
    </tr>
  </thead>
  
  <tbody>
    <tr>
      <td scope="row">한국</td>
      <td>서울</td>
      <td>5100만</td>
    </tr>
    <tr>
   </tbody>
   
   <tbody>
      <td scope="row">미국</td>
      <td>워싱턴</td>
      <td>3억</td>
    </tr>
    <tr>
      <td scope="row">태국</td>
      <td>방콕</td>
      <td>6900만</td>
    </tr>
  </tbody>
  
  <tfoot>
    <tr>
     <td scope="row">합계</td>
     <td  colspan="2">방콕</td>
     <td>6900만</td>
   </tr>
 </tfoot>  
</table>
<caption>
표에 대한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태그이다.

caption 사용시 table 태그의 첫번째 요소로 넣어야 한다.
html code는 위의 케이스만 허용한다.

figure 태그로 table태그를 감쌀 경우 figcaption 태그를 써서 table을 감싸줍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