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에서 EKS(Amazon Elastic Kubernetes Service)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습 환경을 직접 구축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Bastion 서버(관리 서버)를 생성하여 향후 EKS를 설치·관리할 수 있도록 준비해 보겠습니다.
EKS
Bastion 서버(관리 서버)
eksctl
, kubectl
등을 설치하여, AWS 인프라와 EKS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서버 eksctl
, kubectl
등을 설치해 EKS 클러스터 생성 및 관리 명령어 실행 EC2 콘솔 이동
EC2
입력 → 클릭키 페어 생성
demo-key
(예시) RSA
선택 pem ( .pem )
: 오픈SSH, MobaXterm, Xshell 등에서 사용 가능 ppk ( .ppk )
: PuTTY에서 사용 가능 .pem
형식으로 생성 .pem
파일 다운로드 참고
- 퍼블릭 키는 AWS에서 관리(EC2에 저장)하고, 다운로드된 파일은 프라이빗 키이므로 안전하게 보관해야 합니다.
EC2 콘솔 > 보안 그룹 이동
보안 그룹 생성
demo-bastion-sg
demo-bastion-sg
default VPC
)가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 내 IP
(현재 PC 공인 IP 자동 입력) 보안 그룹은 AWS 내부의 방화벽 역할을 하며, 기본적으로 모든 인바운드 트래픽은 거부, 모든 아웃바운드 트래픽은 허용 상태입니다. 필요한 인바운드 포트만 열어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EC2 콘솔 > 인스턴스 이동
인스턴스 구성
demo-bastion
Ubuntu Server 24.04 LTS (64-bit x86)
(예시) t2.medium
(CPU 2개, RAM 4GB) t2.micro
도 가능하지만 리소스가 적을 수 있음) demo-key
선택 default VPC
ap-northeast-2a
) 사용
demo-bastion-sg
선택 인스턴스 시작
퍼블릭 IP 확인
demo-bastion
인스턴스 선택 Xshell 접속
ubuntu
Public Key
demo-key.pem
지정 수락 및 저장
선택로그인 확인
ubuntu@ip-xxx-xxx-xxx-xxx
와 같은 형태로 뜨면 정상 uname -a
등 명령어로 확인이제 Bastion 서버에 다음 패키지들을 설치하여, 본격적으로 EKS를 생성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AWS CLI
eksctl
kubectl
위 도구들을 설치한 뒤에는 eksctl create cluster
명령으로 EKS 클러스터를 만들고, kubectl
명령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eksctl
, kubectl
등을 한곳에 설치해 관리하면 EKS 환경 구성 및 운영이 편리해집니다. 주의사항
- Bastion 서버, EKS 클러스터, 각종 AWS 리소스 사용에는 과금이 발생할 수 있으니 실습 후 사용하지 않는 리소스는 반드시 삭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