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or문으로 뒤집은 경우에는 숫자열, 문자열 구분 없이 배열로 된 상태로만 온다면 적용 가능하지만 만약 입력 받은 데이터 요소가 많을 경우에는 처리 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예시num이 -123이라고 가정 했을 때 num의 Index번호는 0, 1, 2, 3이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를 몇 가지 타입으로 분류한다.개발자도구 console창에서 입력받은 데이터의 타입을 확인 할 수 있다.원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 즉 기계친화적인 언어(로우 레벨 언어)에서 직접 표현하는 데이터타입을 의미한다. 원시타입에
변수의 타입에는 숫자형 문자형 등 형태에 따른 분류가 있었다.이 개념과는 다르게 이 변수의 값을 어디서 불러 오는가를 기준으로 타입을 나눌 수 있다.이번 글에서는 데이터의 형태에 따른 타입이 아닌 데이터를 어떻게 불러오는지를 기준으로 나눈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자바스크립트 문법을 이제 막 배웠고 오늘은 걸음마를 떼기 위한 시작점으로개념을 정리 할 수 있도록 10개의 문제를 풀도록 했다.해결해야 할 자바스크립트 파일의 수는 10개지만 한 파일에 몇가지 문제가 모여있고총 통과해야할 테스트는 50가지였다.페어분과 함께 논의하는 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하나의 모델이 되는 청사진 즉 틀을 만들어 두고 그 만들어 둔 틀을 가지고 한 객체를 만드는 프로그래밍 패턴이다.붕어빵을 예시로 들자면 붕어빵을 찍어내는 틀은 여러개지만 붕어빵 속을 바꿔가며 만들 수 있는데, 이 붕어빵 만드는 틀과 앙금이 바뀌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이라는 패러다임이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절차지향 프로그래밍을 사용했었다.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은 절차적으로 생각하며 함수로 이동하는 것이 전부였다.초기의 C, 포트란 같은 언어들이 절차적인 언어이다.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 만들어진 이후에 절차지향이
JavaScript는 prototype 기반의 언어이다.JavaScript로 개발을 한다면 빠질 수 없는 것이 prototype이라고는 하는데 사실 오늘 보면서 무슨 말인지 정말 모르겠다하지만 어떤 틀이 생기고 그 틀을 기준으로 무엇인가 돌아간다는 두루뭉술한 느낌은 알
JavaScript는 프로토타입 기반의 언어다.프로토타입에 기반하여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한다.JavaScript의 모든 객체는 자신의 부모 역할을 하는 객체와 연결되어있다. 이 부모 객체를 프로토타입 객체 또는 프로토타입이라고 한다.함수 객체만 가지고 있는 pro
번들이란 묶는다는 뜻으로 뭔가를 묶는 작업이라는 것을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습니다. 번들링이란 모듈들의 의존성 관계를 파악하여 그룹화시켜주는 작업을 뜻합니다. 모듈이란 분리된 파일입니다.그렇다면 파일을 모듈로 분리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작업의 효율성을 위해서입니
다른 언어의 경우, 예를 들어 파이썬만 해도 사용하려면 설치 과정이 필요하지만 자바스크립트는 설치 과정이 없다이런 이유는 자바스크립트가 얼마나 강력한 언어인지 증명 하는 것이다.프론트엔드의 경우에는 자바스크립트 외에는 옵션이 없다.때문에 프론트엔드로 근무한다면 자바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