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외처리

Woongbin·2022년 7월 16일
0

Java 기초

목록 보기
10/17
post-thumbnail

ERROR :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환경이 문제인 것.
EXCEPTION : 사용자가 원하는 것과 다른 상황에 직면한 것.

예외

사용자가 원하는 값과 다른 경우이 나오는 경우

System.out.println(1);
System.out.println(2 / 0); // 예외적 상황이 발생함.
System.out.println(3);

예외처리

사용자가 원하는 값과 다른 경우가 나오는 경우에 해결해 주는 것

System.out.println(1);
try {
	System.out.println(2 / 0); // 예외적 상황이 발생함.
} catch(ArithmeticException e) {
	System.out.println("잘못된 계산"); // try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catch를 실행
}
System.out.println(3);

※ 상속받은 자식 익셉션의 부모 익셉션이 자식 익셉션을 다 포함하기 때문에 예외가 두개라면 두 자식의 부모 하나만 쓰면 통합 할 수 있음.

Checked vs Unchecked Exception

예외 구분은 간단하게 상속하지 않는 클래스를 Checked Exception이라고 하고, 상속한 클래스는 Unchecked Exception이라고 한다.

finally

finally는 try에서 익셉션이 발생하든 않하든 무조건 실행한다.

System.out.println(1);
try {
	System.out.println(2 / 0); // 예외적 상황이 발생함.
} catch(ArithmeticException e) {
	System.out.println("잘못된 계산"); // try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catch를 실행
}
finally {
	System.out.println("몰라"); // 무조건 실행.
}
System.out.println(3);

정리

예외는 사용자가 원하는 값이 아닌 다른 상황이 발생했을 때고 예외가 발생했을 때 예외처리를 한다. finally를 사용하면 예외가 발생하든 않하든 무조건 실행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