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o는 카펫을 사러 갔다가 아래 그림과 같이 중앙에는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고 테두리 1줄은 갈색으로 칠해져 있는 격자 모양 카펫을 봤습니다.Leo는 집으로 돌아와서 아까 본 카펫의 노란색과 갈색으로 색칠된 격자의 개수는 기억했지만, 전체 카펫의 크기는 기억하지 못했습
0 또는 양의 정수가 주어졌을 때, 정수를 이어 붙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알아내 주세요.예를 들어, 주어진 정수가 6, 10, 2라면 6102, 6210, 1062, 1026, 2610, 2106를 만들 수 있고, 이중 가장 큰 수는 6210입니다.0 또는 양
당신은 폰켓몬을 잡기 위한 오랜 여행 끝에, 홍 박사님의 연구실에 도착했습니다. 홍 박사님은 당신에게 자신의 연구실에 있는 총 N 마리의 폰켓몬 중에서 N/2마리를 가져가도 좋다고 했습니다.홍 박사님 연구실의 폰켓몬은 종류에 따라 번호를 붙여 구분합니다. 따라서 같은
1와 0로 채워진 표(board)가 있습니다. 표 1칸은 1 x 1 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표에서 1로 이루어진 가장 큰 정사각형을 찾아 넓이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단, 정사각형이란 축에 평행한 정사각형을 말합니다.)
a와 b를 곱해야하기 때문에 for문을 2개 돌린다.i와 j가 같을 때 곱해서 answer에 값을 누적시켜준다.이번 문제는 간단하게 풀 수 있어서 간략하게만 설명을하고 마치겠다
문제 설명 수포자는 수학을 포기한 사람의 준말입니다. 수포자 삼인방은 모의고사에 수학 문제를 전부 찍으려 합니다. 수포자는 1번 문제부터 마지막 문제까지 다음과 같이 찍습니다.1번 수포자가 찍는 방식: 1, 2, 3, 4, 5, 1, 2, 3, 4, 5, ...2번 수
동기 (Synchronous) JavaScript는 기본적으로 동기적으로 작동한다. 동기적으로 작동한다는 것을 풀어서 설명한다면, 문서에서 var로 선언한 변수나 함수가 호이스팅 되서 최상단으로 끌어올려진뒤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작동된다는 것이다. 동기 방식은 하
로마자를 숫자로 바꾸기1~3999 사이의 로마자 s를 인자로 주면 그에 해당하는 숫자를 반환해주세요. 로마 숫자를 숫자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I : 1V : 5X : 10L : 50C
String 형인 str 인자에서 중복되지 않은 알파벳으로 이루어진 제일 긴 단어의 길이를 반환해주세요str: 텍스트 return: 중복되지 않은 알파벳 길이 (숫자 반환)예를 들어, str = "abcabcabc" return 은 3 => 'abc' 가 제일 길기 때
자바스크립트에서 다른 페이지의 함수나 클래스 등을 불러오기 위해 Module System이 만들어졌다.이 모듈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은 간단하게 파일 밖으로 내보낼 때는 export, 불러올 때는 import를 사용하는 것이다.자바스크립트에서는 내보낼 수 있는 요소가
오늘은 JavaScript 시험이 있었는데내가 애먹거나 풀지못한 문제를 리뷰해보려고 한다getFind 함수를 작성하세요.문자와 문자열이 주어졌을때, getFind 함수는 주어진 문자열에서 주어진 문자가 나타나는 첫번째 위치를 반환합니다.Notes: 문자열의 첫번째 문자
이전에 array 관련 method들을 두 번에 걸쳐 정리한 적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리했던 내용의 method를 잘 사용하지 못하는 것 같아 다시 블로그에 작성하면서 머리에 정리해보려고한다.Array 타입의 데이터를 요소 갯수 만큼 반복반복할 때마다 실행할
Object? 한글로는 객체라고 부르는 object는 property로 구성 되어있으며, key와 value로 나뉘어져있다. name이 key값이고, 'Peter Parker'는 value값이다. Object는 Array와 다르게 index값이 없어 호출할때 임의의
11. slice > arr.slice([begin[, end]]) // begin: 0을 시작으로 하는 index값, 음수는 배열의 끝부터 시작한다. undefined일 경우 0번부터 slice // end: 추출을 종료 할 index값, 실제로는 end값의 앞까지
반복문은 같은 계산을 여러번 하는 것을 한 번의 코딩으로 해결할 수 있게끔 해준다.또한 코딩을 하는 사람이 여러번 반복되는 작업을 일일이 하나씩 작업을 하게된다면 실수가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에 한 번의 반복문 사용으로 실수를 없앨 수도 있다.반복문은 4가지 구역으로
함수란? > input -> function -> output 입력(input)을 출력(output)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에 쓰이는 도구를 함수(function)이라고 한다. 함수가 필요한 이유 함수는 간단하게 말하자면 일종의 수학공식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