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up] 4592 : 색종이 1

SUNGJIN KIM·2022년 6월 7일
0

CODEUP

목록 보기
48/76
post-thumbnail

문제

가로,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0인 정사각형 모양의 흰색 도화지가 있다. 이 도화지 위에 가로, 세로의 크기가 각각 10인 정사각형 모양의 검은색 색종이를 색종이의 변과 도화지의 변이 평행하도록 붙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색종이를 한 장 또는 여러 장 붙인 후 색종이가 붙은 검은 영역의 넓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흰색 도화지 위에 세 장의 검은색 색종이를 <그림 1>과 같은 모양으로 붙였다면 검은색 영역의 넓이는 260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색종이의 수가 주어진다. 이어 둘째 줄부터 한 줄에 하나씩 색종이를 붙인 위치가 주어진다.

색종이를 붙인 위치는 두 개의 자연수로 주어지는데 첫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왼쪽 변과 도화지의 왼쪽 변 사이의 거리이고, 두 번째 자연수는 색종이의 아래쪽 변과 도화지의 아래쪽 변 사이의 거리이다.

색종이의 수는 100이하이며, 색종이가 도화지 밖으로 나가는 경우는 없다.

입력 예시

3
3 7
15 7
5 2

출력

첫째 줄에 색종이가 붙은 검은 영역의 넓이를 출력한다.

출력 예시

260

문제 풀이

처음에 조금 더 쉽게 푸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했는데,
그냥 2차원 배열을 100X100으로 만들고, 해당 값을 0에서 1로 변경하여
전체 합을 구하는 방법이 빠를 것 같아 이와 같이 구현하였다.

confetti = int(input())
cnt = 0

arr = []
for num in range(confetti):
    a,b = map(int,input().split(" "))
    arr.append([a,b])

array_list = [[0 for col in range(100)] for row in range(100)]

def change_index(array_list,x,y):
    for i in range(x,x+10): 
        for j in range(y,y+10):
            array_list[i][j] = 1
    return array_list

def find_index(array_list,arr):
    for i in range(len(arr)):
        x = arr[i][0]
        y = arr[i][1]
        array_list = change_index(array_list,x,y)

    return array_list

array_list = find_index(array_list,arr)

for i in range(len(array_list)):
    for j in range(len(array_list)): 
        cnt += array_list[i][j]

print(cnt)
profile
#QA #woonmong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