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은 연관된 데이터들을 묶어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이다.
var member=["man", "women", "kid"];
console.log(member);//[ 'man', 'women', 'kid' ]
console.log(member[0]);//man
console.log(member[1]);//women
console.log(member[2]);//kid
위의 코드는 멤버라는 배열 안에 남성,여성,아이라는 연관된 데이터 변수들을 넣은 것이다. 배열은 대입한 순서대로 0번째, 1번째, 2번째 자리를 갖게된다.
자바 스크립트 언어에서 배열의 요소를 추가할 경우 push를 사용해서 배열의 뒤에 추가할 수 있다. 예시 코드는 아래와 같다.
var member=["man", "women", "kid"];
console.log(member.length);
for(i=0; i<member.length; i++){
console.log(member[i]);
}
member.push("dog");
console.log(member.length);
for(i=0; i<member.length; i++){
console.log(member[i]);
}
결과값

복수의 원소를 배열에 추가할 때는 push 대신 concat을 사용한다.
var member=["man", "women", "kid"];
console.log(member.length);
for(i=0; i<member.length; i++){
console.log(member[i]);
}
member=member.concat(["dog","cat"]);
console.log(member.length);
for(i=0; i<member.length; i++){
console.log(member[i]);
}
결과값

이 외에 배열의 앞부분에다가 원소를 추가하는 unshift(변수)도 존재한다.
또, splice는 배열의 원소와 원소 사이에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게 해준다.
배열.splice(특정 원소의 위치, 사라질 원소의 숫자, 원소)
예시를 보면 다음과 같다.
var member=["man", "women", "kid"];
console.log(member.length);
for(i=0; i<member.length; i++){
console.log(member[i]);
}
member.splice(1,0,"dog");
console.log(member.length);
for(i=0; i<member.length; i++){
console.log(member[i]);
}
결과값

데이터를 제거하는 방법에는 shift와 pop이 있다. shift는 첫번째 원소를 제거해 주는 함수이고 pop은 맨 뒤에 있는 원소를 제거해 주는 함수이다.
var member=["man", "women", "kid"];
member.shift();
console.log(member);
member.pop();
console.log(member);

데이터를 정렬할 때에는 sort를 사용할 수 있다. sort는 숫자는 작은순->큰순으로 문자열은 a,b,c순서대로 정렬된다. reverse 함수는 정렬된 문자열을 반대로 뒤집는 역할을 해준다. 아래에 예시 코드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var member=[2,1,3];
member.sort();
console.log(member);
member.reverse();
console.log(me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