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결과더라도 같은 코드는 없다.그렇기떄문에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문제를 풀다보면 더 효율적인 방법과 이게 최선일까? 라는 질문을 던져봐야한다.효율적인 방법 == 시간 복잡도 고려입력을 나타내는 문자열 길이의 함수로서 작동하는 알고리즘을 취해
트리는 계층자료를 표현하기 좋은 계층형 자료구조이다.꼭 나무를 거꾸로 돌려놓은 모습과 같아서 트리 라고 지었다고 한다.트리를 공부하기전에 트리의 용어를 먼저 알고 있어야한다.✔️ 하단의 그림과 함께 보세요루트 노드(root node) : 부모가 없는 최상위 노드. 트리
루트노드에 가장 큰 값 혹은 가장 작은 값을 저장하고 있는 완전 이진트리최대힙루트노드가 가장 큰 값을 가진다. 따라서 값이 가장 큰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제거됨최소힙루트노드가 가장 작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값이 가장 작은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제거된다.힙 삽입상향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