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5.27 글
📢 국민은행은 시중은행 중에서 가장 늦게 계정계에서 메인프레임을 걷어낸다.
- 아직까지 메인프레임을 사용한 이유❓
계정계는 고객의 거래를 처리하는 핵심 시스템으로 가장 보수적으로 운영되므로, 보안과 안정성이 중요하기 때문
📢 국민은행은 시중은행 중에서 가장 빨리 계정계에 클라우드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 자체 프라이빗 클라우드
KB원클라우드
를 사용
- 국민은행이 사용할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동일한 기술을 사용
- 당분간 메인프레임 기반의 계정계를 병행 운영
- 궁극적으로 계정계 시스템을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
으로 전환할 계획
📢 국민은행은 차세대 전산시스템을 자체개발한다.
- 차세대전산시스템 프로젝트를 내부 개발하는 사례는 국민은행이 처음이다.
- 자체개발하는 이유❓
기존 금융권에서 대형 SI기업에게 외주를 주는 방식은 빅뱅방식으로, 문제점이 있다.
- 기술이나 서비스, 상품에 즉각 변화를 주기가 어렵다.
- 외주 기업과 소통이 원활하지 않다.
📢 국민은행은 아직 계정계 시스템으로 메인프레임을 사용하기 때문에 메인프레임 → 리눅스로 과감하게 전환한다.
- 일반적으로 금융권에서는 시스템 전환을
메인프레임 → 유닉스 → 리눅스
순으로 진행
- 리눅스는 클라우드 도입이 용이하며 빠르게 신기술을 적용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배포할 수 있기 때문에, 시중은행들은 유닉스에서 리눅스로 전환하는 추세다.
📢 국민은행은 코어뱅킹 현대화 완료 시기를 짧게는 2년에서 길게는 4년으로 보고 있다.
📌 메인프레임
- 대용량의 메모리와 고속의 처리속도를 가진 멀티유저용 대규모 컴퓨터로, 금융권의 1세대 시스템
📌 금융 IT시스템의 구조
- 계정계(Core Banking)
- 본연의 금융 업무 처리 시스템으로, 고객의 거래 데이터 자체를 다루는 영역
- 업무: 계좌 개설/폐쇄, 입금, 출금, 계좌이체, 외환 시스템 처리 등
- 장애가 바로 금전적 피해로 이어져 가장 보수적으로 운영됨
- 정보계
- 영업점 및 각 부서의 업무 처리를 위해 필요한, 고객의 거래 데이터에 대한 기록 및 기록의 통계를 관리
- 업무: 신용평가, 여신승인, 리스크 관리, 수익관리, 고객관계관리, 성과관리, 위험관리, 마케팅 등
- 고객 접점 채널에 즉각적인 마케팅과 개인화가 가능하도록 빅데이터 분석 기술이 가장 많이 활용됨
- 대외계
- 은행 외부 기관과 연계되는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대외 연결 시스템
- 업무: 인터넷 뱅킹, 텔레뱅킹, CD 공동망, 타행이체, 카드결제, 주식주문 등
- 대용량 처리보다는 정확성과 안정성 중심
참고자료
https://blog.naver.com/riceman24/222788479347
https://it-ist.tistory.com/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