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에는 허가권(Permission)과 소유권(Ownership)이 부여된다.
파일 및 디렉터리의 상세한 정보 확인
구조
- rw-r-r--. 1 root root 45 10월 11 13:44 linux.txt
영역 | 설명 |
---|---|
- | 파일 유형 - : 일반 파일 c : 문자 파일 l : 심볼릭 링크 파일 b : 블록 장치 파일 d : 장치 파일 s : 소켓 p : 파이프 |
rw-r-r--. | 허가권 |
1 | 링크 수 |
root | 소유자명 |
root | 그룹명 |
45 | 파일 크기 |
10월 11 13:44 | 마지막으로 변경된 시간 |
linux.txt | 파일명 |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chown [옵션][사용자 명][파일/디렉터리명]
[root@localhost ~]# chown [옵션][사용자 명].[그룹명][파일/디렉터리명]
2) 옵션
옵션 | 설명 |
---|---|
-c | 소유권 변경 정보 출력 |
-f | 오류 메시지 출력 안함 |
-R | 하위 디렉터리를 포함한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의 사용자 소유권 변경 |
3) chgrp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chgrp [옵션][그룹명][파일/디렉터리명]
2) 옵션
옵션 | 설명 |
---|---|
-R | 하위 디렉터리를 포함한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의 그룹 소유권을 변경 |
-c | 변경된 파일만 자세히 출력 |
-f | 변경되지 않은 파일에 대해선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음 |
-v | 작업상태를 자세히 출력 |
허가권은 읽기, 쓰기, 실행으로 구분 가능
1) 사용 모드
모드 | 사용자 권한 | 그룹 권한 | 제 3자 권한 |
---|---|---|---|
기호 모드(알파벳) | r w x | r w x | r w x |
숫자 모드(8진수) | 4 2 1 | 4 2 1 | 4 2 1 |
2) 사용 기호
사용자 | 권한 | 연산자 | |
---|---|---|---|
기호 | u g o a | + - = | r w x |
의미 | 소유자 그룹 제3자 모든 사용자 | 허가권 부여 허가권 제거 허가권 지정 | 읽기 쓰기 실행 |
3) 권한
일반 파일 | 디렉터리 | 특수 파일 | |
---|---|---|---|
읽기(read) | 내용 읽기 | 디렉터리 안의 파일/디렉터리 목록 출력 | 'read()'함수로 파일 읽기 |
쓰기(write) | 내용 수정 및 제거 | 디렉터리 안의 파일/디렉터리 생성, 수정, 제거 | 'write()'함수로 파일 내용 수정 |
실행(execute) | 내용 실행 | 디렉터리 안으로 진입 | - |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chmod [옵션][허가권][파일/디렉터리명]
2) 옵션
옵션 | 설명 |
---|---|
-c | 소유권 변경 정보 출력 |
-R | 하위 디렉터리를 포함한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의 사용자 소유권 변경 |
-v | 각 파일의 모드 변경 상태 출력 |
1) 기본 허가권
Default umask | 파일 | 디렉터리 |
---|---|---|
022 | 066 | 777 |
-022 | -022 | |
파일/디렉터리 생성 시 | 644 | 755 |
2)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umask [옵션][설정값]
3) 옵션
옵션 | 설명 |
---|---|
-S | 'umask'값을 기호로 출력 |
해당 파일을 소유한 사용자의 권한으로 실행하도록 만드는 허가권
1) 기능
2) 허가권
기호 | 절대값 | 설명 | |
---|---|---|---|
SetUID | s | 4000 | 파일의 소유자 실행 권한에 UID 설정 |
SetGID | s | 2000 | 파일의 그룹실행 권한에 GID 설정 |
Sticky | t | 1000 | 파일의 제 3자 실행 권한에 Sticky Bit 설정 Sticky Bit가 설정된 디렉터리 안의 파일에 모든 사용자에게 쓰기 권한이 부여되어 있을 경우에도 파일의 소유자나 root 사용자가 아니면 해당 파일을 삭제할 수 없음 누구나 파일을 생성, 수정은 가능 |
3) 특수 비트 활용
[root@localhost ~]# chmod [설정값][파일/디렉터리명]
1) 기능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quotaon [옵션][사용자/그룹명]
2) 옵션
옵션 | 설명 |
---|---|
-a | 모든 파일 시스템에 대해 쿼터 적용 |
-g | 그룹 쿼터 적용 |
-u | 사용자 쿼터 적용 |
-v | 쿼터 적용된 파일 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정보 출력 |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quotaoff [옵션][사용자/그룹명]
2) 옵션
옵션 | 설명 |
---|---|
-a | 모든 파일 시스템에 대해 쿼터 중지 |
-g | 그룹 쿼터 중지 |
-u | 사용자 쿼터 중지 |
-v | 쿼터 중지된 파일 시스템에 대해 상세한 정보 출력 |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quotacheck [옵션]
2) 옵션
옵션 | 설명 |
---|---|
-a | 모든 파일 시스템에 대해 점검 및 기록 갱신 |
-g | 그룹 기록 갱신 |
-m | 파일 시스템을 읽기 전용으로 다시 마운트하지 않음 |
-u | 사용자 기록 갱신 |
-v | 실행 결과를 자세히 출력 |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edquota [옵션][사용자/그룹명]
2) 옵션
옵션 | 설명 |
---|---|
-g | 그룹 쿼터 설정 및 변경 |
-p | 기존 사용자의 할당량 설정을 다른 사용자에게 그대로 복사 |
-t | 유예 기간 확인 및 변경 |
-u | 사용자 쿼터 설정 및 변경 |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setquota [옵션][사용자/그룹명][block soft limit][block hard limit][inode soft limit][inode hard limit][파티션명]
2) 옵션
옵션 | 설명 |
---|---|
-a | 해당 파일 시스템 모두 설정 |
-g | 그룹 쿼터 설정 |
-u | 사용자 쿼터 설정 |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repquota
2) 옵션
옵션 | 설명 |
---|---|
-a | 쿼터 설정 내용 출력 |
-g | 그룹 쿼터 설정 내용 출력 |
-u | 사용자 쿼터 설정 내용 출력 |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fdisk [옵션][장치명]
2) 옵션
옵션 | 설명 |
---|---|
-l | 현재 파일 시스템과 파티션 정보 출력 |
-s | 지정된 파일 시스템의 크기를 블록 단위로 출력 |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mkfs [옵션][파일 시스템 유형][장치명]
2) 옵션
옵션 | 설명 |
---|---|
-c | 파일 시스템 불량블록 검사 |
-t | 파일 시스템의 유형 지정 |
-v | 작업 과정 출력 |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mke2fs [옵션][파일 시스템 유형][장치명][블록 개수]
2) 옵션
옵션 | 설명 |
---|---|
-b | 블록 크기 지정 |
-c | 불량 블록 검사 |
-f | 플래그먼트 크기 지정 |
-i | 아이노드 크기 지정 |
-j | ext3 파일 시스템 이상에서 저널링 기술 적용하여 생성 |
-S | 슈퍼블록 복구 시 사용 |
-t | 파일 시스템 유형 지정 |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fsck [옵션][장치명]
2) 옵션
옵션 | 설명 |
---|---|
-A | 파일 시스템 검사 |
-a | 검사 후 복구 여부를 묻지 않고, 자동으로 복구 |
-P | 병렬 처리 검사 |
-R | -A 옵션과 같이 사용하면 루트 파일 시스템을 제외한 모든 파일 시스템 검사 |
-r | 검사 후 복구 여부 질의 |
-s | 시리얼화, 여러 파일 시스템 검사 시 유용 |
-t | 파일 시스템 지정 |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e2fsck [옵션][장치명]
2) 옵션
옵션 | 설명 |
---|---|
-c | 불량 블록 검사 |
-f | 강제적으로 검사 |
-n | 모든 질의에 대한 응답을 'no'로 처리 |
-p | 검사 후 복구 여부를 묻지 않고, 자동으로 복구 |
-y | 모든 질의에 대한 응답을 'yes'로 처리 |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mount [옵션][장치명][마운트 포인트]
2) 기본 옵션
옵션 | 설명 |
---|---|
-a | 모든 파일 시스템 마운트 |
-f | 실제로 마운트 하지 않고, 마운트를 할 수 있는지 확인 |
-n | 쓰기 작업을 하지 않고 마운트 |
-o | 추가 옵션 |
-r | 읽기 전용 마운트 |
-t | 파일 시스템 유형 지정 |
-w | 읽기/쓰기 모드로 마운트 |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eject [옵션][장치명/마운트 포인트]
1) 기본 형식
[root@localhost ~]# df [옵션][파일명]
2) 옵션
옵션 | 설명 |
---|---|
-a | 모든 파일 시스템 출력 |
-B | 블록 단위로 출력 |
-h | 읽기 쉬운 단위로 출력 |
-H | 1KB는 1024바이트이지만 1000단위로 출력 |
-i | inode의 남은 공간, 사용 공간, 사용 퍼센트 출력 |
-k | KB 단위로 출력 |
-l | 로컬 파일 시스템만 출력 |
-P | POSIX에서 사용하는 형태로 출력 |
-t | 파일 시스템을 지정하여 출력 |
-T |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출력 |
-x | 지정한 파일 시스템을 제외하고, 모든 파일 시스템 정보 출력 |
1) 구조
/dev/sdb1 /home ext3 defaults 0 0
필드 | 설명 |
---|---|
/dev/sdb1 | 파일 시스템 장치명 |
/home | 마운트 포인트 |
ext3 | 파일 시스템 유형 |
defaults | 파일 시스템 속성 |
0 | Dump 설정 0 : Dump 불가능한 시스템 1 : Dump 가능 시스템 |
0 | 파일 시스템 점검 옵션 0 : 점검하지 않음 1 : 루트 파일 시스템 2 : 일반 파일 시스템 |
2) 옵션
옵션 | 설명 |
---|---|
default | 기본적으로 'rw', 'suid', 'auto', 'nouser', 'async' 등으로 설정 |
ro |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
rw | 읽기/쓰기로 마운트 |
auto | -a 옵션으로 마운트 |
noauto | -a 옵션으로 마운트하지 않음 |
exec | 실행 파일이 실행 가능하도록 마운트 |
noexec | 실행 파일이 실행되지 않게 마운트 |
user | 일반 사용자 계정의 마운트 허용 |
nouser | 일반 사용자 계정의 마운트를 허용하지 않음 |
sync | 파일 시스템에 대한 입출력이 비동기적으로 이루어지게 함 |
async | 파일 시스템에 대한 입출력이 동기적으로 이루어지게 함 |
dev | 파일 시스템의 문자, 블록, 특수장치 확인 |
suid | SetUID, SetGID 적용 허용 |
nosuid | SetUID, SetGID 적용 허용하지 않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