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서버의 부족한 IP를 값싸게 보충하기

이세민·2025년 4월 6일
0

배경

학교에 있는 서버 관리를 맡게될 기회가 생겼다!
물론 실제로 관리하기까지는 멀었고, 공부해야할 것들도 많다.

서버에서는 인터넷망으로 SK Broadband 가정용 1GB를 사용하는데, 공인 IP가 한개 뿐이다. 여러개의 서버랙과 또 여러개의 가상머신들이 돌아가야하기 때문에 공인 IP 한개는 매우 부족하다.

SK에서 IP를 구매하면 개당 월 1만원 정도 들지만, 선배님이 가격을 절감하는 방법을 사용하셔서 알아보았다.

Vultr 클라우드

Vultr라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있다.
이곳에서는 적은 추가요금으로 인스턴스당 IP 3개를 받을 수 있다.

IP 3개를 가진 저가 인스턴스를 빌리고 1개를 관리를 위한 IP, 나머지 두개를 서버를 위한 IP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개당 3달러 정도로 저렴하게 IP를 구매할 수 있다.

GRE 터널링

Vultr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학교 서버의 VM 인스턴스마다 할당을 해주기 위해 GRE라는 기술을 사용한다.
GRE는 Generic Routing Encapsulation의 약자로 여러 프로토콜의 패킷을 캡슐화하여 전달하는 기술이다.
GRE는 중간과정에 상관없이 동작하는 Point-to-Point 연결을 만들어, GRE 터널링으로도 불린다.

학교 서버에서는 vultr와 서버간의 터널을 파서, 마치 vultr의 ip가 서버의 ip인 것처럼 작동하도록 만든다.

활용

  1. Vultr로 들어오는 두개의 IP의 트래픽을 GRE로 캡슐화 하여 학교 서버의 IP 쪽으로 전달한다.
  2. 학교 서버 앞단의 라우터에서 GRE 패킷의 캡슐을 해제하여 기존 트래픽을 확인한다.
  3. 기존 트래픽을 라우터의 DHCP를 통해 다시 서버의 VM 인스턴스에 분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Vultr의 IP를 마치 서버의 IP인 것처럼 활용할 수 있다.

마무리

트래픽의 이동만 설명하다보니 굉장히 짧게 끝났지만, 구현은 또 더 어려울 것이고, 내가 서버를 관리하기 위해선 고려해야 될게 훨씬 많다고 생각하니 큰 벽이 있는 것 같다.

profile
gsm 8기 고등학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