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숫자를 함수 안에 넣으면 박수를 쳐야할지 말아야할지 판단하는 함수 만들기
<script>
function 삼육구게임(num) {
if (num % 3 === 0) {
console.log("박수");
} else {
console.log("통과");
}
}
</script>
실행결과 예시 :
삼육구게임(6); 실행하면 3의 배수니까 콘솔창에 '박수'라는 글자가 떠야합니다.
삼육구게임(12); 실행하면 3의 배수니까 콘솔창에 '박수'라는 글자가 떠야합니다.
삼육구게임(11); 실행하면 3의 배수 아니니까 콘솔창에 '통과'라는 글자가 떠야합니다.
Q1업그레이드 버전은 3의 배수에서 박수를 치고 9의 배수에서는 박수를 두 번 쳐야한다.
<script>
function 삼육구게임(num) {
if (num % 3 === 0 && num % 9 === 0) {
console.log("박수");
} else if (num % 9 === 0) {
console.log("박수X2");
} else {
console.log("통과");
}
}
</script>
자꾸 안대는 이유가 모지..
-> else if 문은 먼저 나온 코드가 아닐때 뒤에 나오는 코드를 실행하는 점을 활용하여 9의 배수를 먼저 확인해야한다
<script>
function 삼육구게임(num) {
if (num % 9 === 0) {
console.log("박수X2");
} else if (num % 3 === 0) {
console.log("박수");
} else {
console.log("통과");
}
}
</script>
실행결과 예시 :
삼육구게임(6); 실행하면 콘솔창에 '박수'라는 글자가 떠야합니다.
삼육구게임(9); 실행하면 콘솔창에 '박수x2'라는 글자가 떠야합니다.
삼육구게임(11); 실행하면 콘솔창에 '통과'라는 글자가 떠야합니다.
개론과 민법 2개의 과목이 있다.
과목마다 100점 만점이지만 두 과목 합해서 120점 이상이면 합격,
다만 한 과목이 40점 미만이면 과락으로 불합격
<script>
function 시험(a, b) {
if (a < 40 || b < 40) {
console.log("불합격");
} else if (a + b >= 120) {
console.log("합격");
} else {
console.log("불합격");
}
}
</script>
실행결과 예시 :
시험(70, 70); 실행시 총점 120이상이니 콘솔창에 '합격'이 출력되어야합니다.
시험(30, 100); 실행시 하나 과락이니 콘솔창에 '불합격'이 출력되어야합니다.
시험(50, 50); 실행시 총점 120미만이니 콘솔창에 '불합격'이 출력되어야합니다.
3의 배수가 아니라 끝자리가 3, 6, 9로 끝나는 숫자라면 '박수' 출력
<script>
function 삼육구(num) {
let str = String(num);
if (Number(str.charAt(str.length - 1)) === 3) {
console.log("박수");
} else if (Number(str.charAt(str.length - 1)) === 6) {
console.log("박수");
} else if (Number(str.charAt(str.length - 1)) === 9) {
console.log("박수");
} else {
console.log("패스");
}
}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