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 반복되는 실습에 html/css와 어느 정도 친숙해 진 것 같다. 그런 만큼 학습 방식에 조금 변화를 주기로 했다. 처음에는 모든게 새로웠지만 지금 와서는 학습 보다는 훈련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애초에 강의를 시청하는 것에 앞서 먼저 실습을 진행해보고 강의를 보며 비교하는 방식으로 학습했던 것도 차차 그 훈련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였다.
물론, 스스로 숙련되었다는 평가를 내릴 수 있어서 방식을 바꾸려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html/css가 가진 긴 역사(?)와 퍼블릭도메인이라는 특성 때문인지 초보인 내 눈에는 같은 결과를 출력하는 다른 방식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각각의 방식에 대한 합리적인 이유를 파악하거나 우열을 가리기지 못한기 때문에, 내가 실습한 결과물에 대한 의심을 남긴다.
그렇다고 강의를 정답 삼아 같은 결과를 만드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도 없다. 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첫째로는 물론 웹 개발이라는 영역에 하나의 정답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부분은 나의 역량과 강의의 역량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두 번째는 앞서 키즈가오의 경우처럼 강사가 직접 만든 웹사이트라면 그 의도에 대해서까지 알 수 있지만 유명한 다른 웹페이지를 카피하는 경우에는 개발자의 의도 등을 전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이유는 자바스크립트라는 핵심 요소를 배제한 단계의 강의라는 점이다. 결국 기술적으로 자바스크립트와 관련된 부분들을 배제하고 작업하게 되고, 대부분 레이아웃을 비슷하게 만드는 실습의 반복이 된다.
당연히 여전히 개발에 제대로 발도 들이지 못한 나에게 강의를 듣고 벨로그를 작성하는 것은 많은 성취를 준다. 하지만 지금의 방식이 효율의 측면에서 최선이라고 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오늘은 우선 강의를 보고 듣는 것에 집중해보았다. 전체적인 진행의 흐름을 파악하는 관점에서 보니 안 보이던 것이 보이는 측면이 있었다. 특이한 부분이라면 link 태그로 html 문서 두개를 이어서 작업하는 것이 처음이였고, 하나의 CSS파일을 활용한다는 것이었다. 알고 있었지만, id나 class로 선택자의 이름을 정할 때 범주화가 새삼 중요하게 느껴지는 부분. 동시에 여러 페이지를 링크해 하나의 사이트를 구성하는 실습은 더욱더 강의 내용을 온전히 따라해야 한다는 제약이 더 커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구체적인 학습 목표와 방식을 스스로 설계하는 데에는 시간이 제법 걸리겠지만, 우선 몇 가지 항목을 생각해보게 되었다.
x
x
x
역시 공부는 스스로 욕심내지 않으면 멈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