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Oct/30(Wed)
세상에는 다양하고 많은 사람들이 존재한다, 모든 사람들이 다 같은 생각을 하면서 삶을 살지는 않는다. 수많은 다양한 사람들이 원하는 디자인, 선호하는 디자인들이 다 다를것이다. 그렇다고 우리는 개인들에게 맞는 디자인을 모두다 개별적으로 하는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래서 우리는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디자인의 기준점이 필요한데 그 기준점을 어떤 방법으로 찾을수있을까?
대다수의 사람들이 좋아하는 디자인을 찾으려면 많은 리서치와 데이터들이 필요하다. 충붕한 데이터가 모이지 않으면 많은사람들의 만족감을 채우는 방법을 쉽게 알수가 없다. UI/UX리서치에는 두가지 방법인 디자인 리서치, 사용자 리서치가 있다.
디자인 리서치는 디자인의 관점에 초점을둔 조사와 분석이다. 디자인을 학술적 관점에서 연구를하고 개발시키는 단계인것이다.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를 만들때 초기에 사용자에 대해서 리서치를 하는 과정이라고도 해석이 가능하다.
사용자 리서치는 사용자에 초점을 맞춘 조사와 분석이다. 디자인을 하는 이유는 사용자들을 위해서 하는 행위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 리서치는 사용자를 이해하고, 사람들에게 최적화된 디자인을 제공하기 위해서 하는 리서치이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들의 불편사항을 이해하고 동시에 시장분석과 시장 잠제력까지 알아볼수있는 리서치이다.
모든 서비스들은 사용자들을 위해 만들어진 서비스들이다.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으면 슬프지만 그 서비스는 망한것이나 다름이없다. 더 많은 사용자들을 모으려면 양질의 리서치 데이터가 필요하다. 리서치가 필요한 이유는 사용자들의 행동을 분석을 해야지만 사용자들이 불편해하는 사항들, 좋아하는것 (니즈)를 파악하고 이것들을 반영해야지만 더 높은 만족감을 선사할수있다.
| 목적 | 이유 |
|---|---|
| 고객 이해 | 고객들의 선호도 파악 |
| 경쟁 분석 | 경쟁사 유무, 경쟁사의 강점, 약점 파악 |
| 기회 발견 | 신제품이 성공할수있는지, 타 서비스와의 차별점 |
사용자들을 리서치할수있는 방법은 두가지이다.
> 많은 양의 정보를 짧은시간에 모을수있다, 하지만 정보의 신뢰성은 낮다. >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정보를 모으지만, 양질의 정보를 얻을수있다. > 얻고자하는 부분의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보고 얻을수있다. > 기존 데이터가 없는 스타트업이나, 초기에는 어려운 방법이다. > 따른 기관이나 사람들이 이미 작성한 보고서를 보는 것이므로 최신버전이 아닐수도있다.

Premier League의 홈페이지로 예시를 들겠다.
사용자들의 피드백이나 만족도를 체워주는것이 가장 중요한것같다. 보기에만 좋은 것이아니라 실속까지 챙겨야 모든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는 그런 디자인을 낼수있는것 같다. 사람들은 편리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는 성향이 있는데 그 점을 잘 파악해서 디자인이나 기획을 해야한다고 느낀다.
화면 설계도는 앱이나 웹을 만들기 전에 필수적으로 거쳐야하는 단계이다.이 단계를 통해서 사용자들이 어떤 경험을 하고 우리가 전달하고자하는 메세지나 느낌을 줄수있는지 테스트를 해볼수있는 그런 단계이다. 회사 입장에서도 이 방법을 통해서 전반적으로 어떤 형태로 디자인이되고 어떤 방식으로 사용자들이 사용을 할수있는지 알아볼수있다.
User flow의 예시화면설계도는 앱이나 웹을 만들때 건너뛰거나 대충할수없는 작업인거 같다. 사용자가 사용하기전 최종으로 정검을하는 단계인것이다. 이런 과정들을 거치면서 불편한점 이상한 부분들을 고치고 최상의 만족도를 선사하기위해 마지막 수정단계인것같다.
요구사항 명세서는 진행되는 프로젝트에서 제품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위해서 구체적으로 원하는 기능과 성능을 표기해서 개발팀에게 개발해달라고 문의를 요청하는 요약페이지라고 생각하면 될꺼같다.
프로젝트에서 완성이 되기까지 많은 사람들과의 협업과 소통이 원활해야하는데 이런 규칙과 방법들을 사용해서 의사소통의 오류를 줄이면 시간과 에너지를 훨신 많이 줄일수있다고 생각을한다. 원칙을 너무 지켜서 건의를 한번해야할때도 보고서를 써야한다면 효율적이진 않겠지만 대체로 많은 양의 개발이 한번에 이루어질때는 정말 유용하게 사용할수있는 방식인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