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빠른 테스트를 위해서 리전을 변경하지 않았지만 실제로 서버를 배포할 때는 리전을 변경해야 한다.
우측 상단에서 리전을 변경할 수 있다.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도 리전을 변경한 상태에서 진행해야 한다.




나는 로컬에 깔린 Ubuntu도 22.04 LTS기 때문에 여기서도 Ubuntu 22.04 LTS를 사용하기로 했다.







퍼블릭 IP 주소 = 외부에서 인스턴스에 접근할 때 사용, 계속 바뀜
프라이빗 IP 주소 = AWS 내부에서 인스턴스에 접근할 때 사용, 바뀌지 않음(고정된 IP)
퍼블릭 IPv4 DNS = AWS에서 제공하는 도메인 이름


방화벽 때문에 발생한 문제


모든 IP에 대해서 인스턴스에 접근 가능하게 수정



우분투
$ sudo apt-get update
nginx 설치
$ sudo apt-get install nginx
nginx 실행
sudo systemctl start nginx
# 이건 nginx를 재실행하고 싶을 때 사용
sudo systemctl restart nginx
nginx 실행 중인지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nginx


여전히 접근이 안된다
혹시나 싶어서 IP 자체를 입력해보니 접속이 된다.

차이점이 뭔가 싶어서 주소를 비교했더니 http와 https의 차이였다.

Instance를 재실행할 때마다 Public IP가 계속 바뀌니까 고정 IP를 받고 싶을 때 하는 방법
돈이 들어가는 방법이라서 쓸 이유가 없다면 사용 안 하는 게 좋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