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Data):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서 수집된 사실이나 값
정보(Information): 어떠한 목적이나 의도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하여 얻은 결과

단순하게 설명하면 정보를 저장한 공간을 의미
여러 사람이 공유하고 사용할 목적으로 통합 관리되는 정보의 집합
단어, 숫자, 이미지, 비디오 및 파일을 포함한 모든 유형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실시간 접근성(Real-Time Accessibility): 사용자는 DB에 실시간으로 접근할 수 있다.
지속적인 변화(Continuous Evolution): 데이터베이스는 추가, 삭제, 수정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동시 공유: 다수의 사용자가 같은 데이터에 동시에 접근할 수 있다.
내용에 대한 참조: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참조할 때 데이터 레코드의 주소나 위치가 아닌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 내용으로 데이터를 찾는다.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일관성 유지: 데이터의 일관성이 유지된다.
무결성 유지: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이 유지된다.
보안성 유지: 데이터에 대한 중앙집중 관리에 의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언제나 최신의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데이터의 표준화가 가능하다. ※표준화: 어떠한 표준에 따라 제한하고 통일하는 것
데이터가 논리적으로 독립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가 변경되어도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더라도 외부 스키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독립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저장장치의 구조)가 변경되어도 논리적 구조나 데이터의 내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내부 스키마가 변경되더라도 외부, 개념 스키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데이터에 접근하기 용이하다.
데이터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전문가가 필요하다.
구축 및 관리에 많은 비용이 든다.
데이터 백업과 복구가 어렵다.
시스템이 복잡하다.
대용량 디스크로 엑세스가 집중되면 과부하가 발생한다.
데이터베이스에 여러 사용자가 접근하여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응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DB :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DBMS :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조회, 처리하는 등 데이터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데이터와 정보의 차이
위키피디아 - 데이터베이스
TTA정보통신용어사전
데이터 독립성과 스키마
DBMS 정리
스키마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