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떠한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의 집합
특정한 로직(작업)을 가지는 소스코드에 별명(이름)을 붙일 수 있다.
함수(function) = 이름이 붙은 로직
자바와 달리 꼭 클래스 내부에 함수를 작성할 필요 없다.
중복되는 코드의 반복적인 프로그래밍을 피할 수 있다.
본문이 중괄호로 둘러싸인 함수를 의미한다.
fun 함수 이름(변수명:자료형, 변수명:자료형 ....) : 반환자료형 {
소스코드 로직
return 어떤 값
}
함수를 선언할 때 fun 키워드를 사용한다.
fun 키워드 뒤에 함수 이름을 작성한다.
함수 이름 뒤에는 괄호 안에 파라미터 목록을 작성한다.
파라미터 목록 뒤에 콜론(:)과 함수의 반환자료형을 쓴다.
중괄호 내에 본문을 작성한다.
반환 타입을 적었다면 반드시 return문이 있어야 한다.
등호와 식으로 이루어진 함수를 의미한다.
fun 함수 이름(변수명1:자료형, 변수명2:자료형 ....) = 어떠한 식(e.g. 변수명1+변수명2)
함수를 선언할 때 fun 키워드를 사용한다.
fun 키워드 뒤에 함수 이름을 작성한다.
함수 이름 뒤에는 괄호 안에 파라미터 목록을 작성한다.
파라미터 목록 뒤에 콜론(:)과 함수의 반환자료형을 쓴다.
등호(=) 뒤에 본문을 작성한다.
fun max(a:Int, b:Int) = if(a>b) a else b
fun main(){
var a = 5
var b = 10
//15가 출력
print(add(5,10))
}
fun add(num1:Int, num2:Int) : Int{
return num1+num2
}
fun main(){
var myScore = 94
print("내 등급은 ${checkRank(myScore)}")
}
fun checkRank(score:Int) : String{
when(score){
in 90..100 -> return "A" //내 점수는 94점이기 때문에 A등급이 출력된다.
in 80..89 -> return "B"
in 70..79 -> return "C"
else -> return "F"
}
}
fun max(a: Int, b: Int): Int{
return if(a > b) a else 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