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놀리식 아키텍처는 단일 코드 베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이다.
예를 들어 Java로 작업할 때, 전체 애플리케이션은 단일 코드로 작성되어 단일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된다.
이것은 매우 일반적인 접근 방식으로, 거의 모든 개발자가 코딩을 시작할 때 이런 종류의 아키텍처에서 작업하게 된다.
그래서 모놀리식으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보다 구현이 쉽고, 덜 복잡하다는 장점이 있다.

모든 코드가 단일 코드 베이스에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로컬에서 실행해야 할 경우 단일 애플리케이션만 실행하면 된다.
단일 프로젝트로 배포하면 되기 때문에 간편하다.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거나 버그가 수정될 때마다 단일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면 된다.
모든 코드가 단일 애플리케이션에 있기 때문에 디버깅하기 쉽다.
추가 구성을 수행하지 않고 코드를 실행하여 디버깅하면 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커지면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은 중소형 애플리케이션에선 잘 작동하지만, 애플리케이션이 크고 복잡해지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체 애플리케이션의 확장만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부분에 대해 요청을 받으면, 이 부분만 확장할 수는 없고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해야 한다.
규모가 작은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현 비즈니스를 통해 성장할 계획이 없거나, 복잡한 시스템 설계 및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아직 아이디어를 구상 중인 단계
팀의 규모가 작거나 신생 팀인 경우, 또는 새로운 도메인일 경우
아직 제품이 MVP 상태일 경우
주된 작업이 CRUD일 경우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813/
https://aws.amazon.com/ko/compare/the-difference-between-monolithic-and-microservices-archite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