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에 맞는 코드만 실행
// 조건식은 앞서배운 비교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 즉, 조건식 자리에는 true 또는 false의 결과가 들어갑니다
// 조건식이 true일때 중괄호 안의 코드를 실행합니다
if(조건식) {
// 실행할 코드
}
// 둘 중 한개의 코드만 실행됩니다
if(조건식) {
// 조건식이 true일때 실행할 코드
}
else {
// 조건식이 false일때 실행할 코드
}
// 셋 중 한개의 코드만 실행됩니다
if(조건식) {
// 조건식이 true일때 실행할 코드
}
else if(다른 조건식){
// if조건문이 false이고, 다른 조건식이 true일 때
}
else {
// 모든 조건식이 false일때 실행할 코드
}
var a = 10
if(a >= 15) {
println("크다.")
}
else{
// a는 15보다 작으므로 이 부분이 출력
println("크지 않다.")
}
fun maxOf(a: Int, b: Int) = if (a > b) a else b
else if가 많을 때 사용
if와 달리 하나만 선택하도록 설정 가능
기본 구조
when(변수 또는 상수) {
값1 -> {
// 실행할 코드
}
값2 -> {
// 실행할 코드
}
//경우에 따라 중괄호를 생략할 수 있다.
값3 -> //실행할 코드
//여러개를 한번에 검사할 수 있다.
값4,값5,값6 -> {}
else -> {
// 실행할 코드
}
}
var a = 10
when(a){
1 -> {
println("1입니다.")
}
5 -> {
println("5입니다.")
}
7 -> {
println("7입니다.")
}
else{
// a는 1,5,7이 아니므로 이 부분이 출력
println("아무 것도 아닙니다.")
}
}
fun main() {
val test = "abcsdf"
val result = when(test.length){
in 0..3 -> "짧음"
4,5,6 -> {"적당함"}
else -> "길다"
}
println(result)
}
fun main() {
val test = "abcsdf"
val result = when(test.length){
in 0..3 -> "짧음"
4,5,6 -> {"적당함"}
else -> "길다"
}
println(result)
}
when{
조건식1 -> {
// 실행할 코드
}
//경우에 따라 중괄호를 생략할 수 있다.
조건식2 -> // 실행할 코드
//경우에 따라 괄호를 붙일 수 있다.
(조건식3) -> // 실행할 코드
else -> {
// 실행할 코드
}
}
fun main() {
var a = 15
var test = when{
(a == 10) -> {"a는 10이다."}
else -> "a는 10이 아니다."
}
println(test)
}
fun main() {
println(test(15))
}
fun test(num:Int) = when{
(num%2==0) -> "짝수다"
else -> "홀수다"
}
fun main() {
for (i in 0..30){
println(fizzBuzz(i))
}
}
fun fizzBuzz(num: Int) = when{
num%15==0 -> "FizzBuzz"
num%3==0 -> "Fizz"
num%5==0 -> "Buzz"
else -> "${nu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