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언트-서버 구조
무상태성(Stateless)
Stateful
- ex) 중간에 다른 점원으로 교체 불가능.
(바꾸면 상태정보를 넘겨야 함)- 서버 장애나면 상태정보 날아가서 처음부터 다시 서버에 요청해야함
Stateless- ex) 중간에 다른 점원으로 교체 가능
고객이 증가해도 점원 대거 투입 가능- 클라이언트 요청 시 필요데이터 담아서 보내므로, 요청 증가해도 서버 대거 투입 가능하며 아무 서버나 호출 가능.
- 응답 서버를 쉽게 교체 가능 => 무한한 서버 증설 가능
- 서버 장애나면 다른 서버에서 응답하면 되므로 클라이언트는 다시 요청할 필요 없음
Stateless 한계- 모든 것을 무상태로 설계 가능할수도 없을 수도 있다
-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경우,
유저 상태 유지해야되므로 브라우저 쿠키, 서버 세션, 토큰 등으로 상태 유지해야 한다
비연결성(Connectionless)
Connection Oriented 연결 유지
- TCP/IP는 기본적으로 연결 유지
- 연결 유지하는 서버의 자원이 계속 소모됨
Connectionless 비연결성- HTTP는 비연결성 모델 (HTTP 1.0 기준)
- 일반적으로 초단위 이하의 빠른 속도로 응답
- 1시간 동안 수천 명이 서비스 사용해도, 실제 서버에서 동시 처리 요청은 수십개 이하로 매주 작다
- 트래픽 많고 큰 규모 서비스 경우 한계가 있음
- ex) 웹 브라우저에서 계속 연속해서 검색 버튼을 안누르는 것
Connectionless 한계- TCP/IP 연결 새로 맺어야 함 - 3 way handshake 시간 추가
- 웹 브라우저로 사이트를 요청 시 HTML뿐만 아니라 JS, CSS, 추가 이미지 등 많은 자원이 함께 다운로드됨
해당 자원을 보낼때마다 연결끊고 재연결 반복하는 건 비효율적.- 지금은 HTTP 지속 연결(Persistent Connections)로 문제 해결.
- HTTP/2, HTTP/3 에선 더 최적화됨
HTTP Message
단순함, 확장성
HTTP 초기
각 자원 다운로드 위해 연결과 종료 반복하여 낭비됐었음
HTTP 지속 연결(Persistent Connections) 후
각 자원들 요청 후 응답 돌아오면 연결 종료함
클라이언트 -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되는 방식
- Requests
POST : http 메서드
/ : url-path
Host : ex) www.google.com
body : 데이터나 문서를 넣어서 요청할 수 있다
- Responses
403 Forbidden : 클라이언트 실패
body :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데이터를 전할 수 있다
무상태성. 상태를 가지지 않는다는 뜻.
HTTP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HTTP가 클라이언트나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습니다. 사용자는 쇼핑몰에 로그인하거나 상품을 클릭해서 상세 화면으로 이동하고, 상품을 카트에 담거나 로그아웃할 수도 있습니다.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한 이런 모든 상태를 HTTP 통신이 추적하지 않습니다.
만약 쇼핑몰에서 카트에 담기 버튼을 눌렀을 때, 카트에 담긴 상품 정보(상태)를 저장해둬야 합니다. 그러나 HTTP는 통신 규약일 뿐이므로, 상태를 저장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다른 방법(쿠키-세션, API 등)을 통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Client --요청--> Server
: 요청이나 응답의 상태.
HTTP method를 나타낸다.
수행할 작업(GET, PUT, POST 등)이나 방식(HEAD or OPTIONS)을 설명.
ex) GET method - 리소스를 받기,
POST method -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기
요청 대상(URL이나 URI) 또는 프로토콜, 포트, 도메인의 절대 경로는 요청 컨텍스트에 작성됩니다. 이 요청 형식은 HTTP method 마다 다릅니다.
POST / HTTP 1.1
GET /background.png HTTP/1.0
HEAD /test.html?query=alibaba HTTP/1.1
OPTIONS /anypage.html HTTP/1.0
GET http://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Messages HTTP/1.1
CONNECT developer.mozilla.org:80 HTTP/1.1
*
) 하나로 서버 전체를 표현합니다.: 요청을 지정하거나, 메시지에 포함된 본문을 설명하는 헤더의 집합이다.
요청의 Headers는 기본 구조를 따릅니다. 헤더 이름(대소문자 구분이 없는 문자열), 콜론(:
), 값을 입력합니다. 값은 헤더에 따라 다릅니다. 여러 종류의 헤더가 있고, 다음과 같이 그룹을 나눌 수 있습니다.
General headers
: 메시지 전체에 적용되는 헤더
body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와는 관련이 없는 헤더
Request headers
: fetch를 통해 가져올 리소스나 클라이언트 자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User-Agent, Accept-Type, Accept-Language와 같은 헤더는 요청을 보다 구체화한다. Referer처럼 컨텍스트를 제공하거나 If-None과 같이 조건에 따라 제약을 추가할 수 있다.
Representation headers
: 이전에는 Entity headers로 불렀으며, body에 담긴 리소스의 정보(콘텐츠 길이, MIME 타입 등)를 포함하는 헤더.
Referer: A
를 포함해서 요청Referer
를 사용하면 유입경로 수집 가능요청시에만 사용
: 요청, 응답과 관련된 데이터 또는 문서를 포함한다. 요청, 응답의 유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 헤더 두 개(Content-Type과 Content-Length)로 정의된 단일 파일로 구성
: 여러 파트로 구성된 본문에서는 각 파트마다 다른 정보를 지닙니다. 보통 HTML form과 관련있다
HTTP/1.1 404 Not Found
HTTP/1.1
ex. 200, 302, 404 등
:
), 값을 입력한다General headers
: 메시지 전체에 적용되는 헤더
body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와는 관련이 없는 헤더
Response headers
: 위치 또는 서버 자체에 대한 정보(이름, 버전 등)와 같이 응답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갖는 헤더
Vary, Accept-Ranges와 같이 상태 줄에 넣기에는 공간이 부족했던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Representation headers
: 이전에는 Entity headers로 불렀으며, body에 담긴 리소스의 정보(콘텐츠 길이, MIME 타입 등)를 포함하는 헤더
: 길이가 알려진 단일-리소스 본문은 두 개의 헤더(Content-Type, Content-Length)로 정의한다
길이를 모르는 단일 파일로 구성된 단일-리소스 본문은 Transfer-Encoding이 chunked 로 설정되어 있으며, 파일은 chunk
로 나뉘어 인코딩되어 있다
: 서로 다른 정보를 담고 있는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