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Java란? 객체지향적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2. 프로그래밍이란? 프로그래밍 :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드는 일을 뜻 함 프로그래머 :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을 뜻 함 컴파일 :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가 언어 문법에 잘 맞는지 확인하고, 컴퓨터가 이해할
변수는 말 그대로 '변하는 수'를 뜻한다.변수를 선언한다는 뜻은 "값을 담을 변수(그릇으로 비유)를 생성한다" 와 동일하다변수에 값을 대입하기 위해서는 값이 무엇인지에 따라서 변수의 형태가 달라지는데, 이러한 형태를 자료형이라고 한다.📌 입력방법 : 자료형 + 변수
(1) 상수는 항상 변하지 않는 수를 의미한다.(2) 상수명은 대문자로 입력한다.📌 입력방법 : final + 자료형 + 상수 명 = 상수 값;
변수끼리 연산을 할 때 각 변수의 자료형이 다를 경우 자료형을 같게 바꾸는 것을 말한다.형 변환은 크게 (1) 묵시적 형 변환(자동 형 변환) (2) 명시적 형 변환(강제 형 변환) 로 나누어진다.💡 묵시적 형 변환 : 연산시 자동적으로 데이터타입 형태가 변환되는
연산시 사용하는 기호들을 연산자라고 한다. 연산시 항의 개수에 따라서 단항, 이항, 삼항 연산자로 나뉜다.a = 10;
주어진 조건에 따라서 다른 문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하는 것if문과 switch문으로 나뉜다.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구문을 간결한 구문을 통해 실행할 수 있다.for문, while문이 있다.do-while문 : 반복문이 실행 될 때 무조건 do문은 1번은 실행을 하게되고 while문을 실행한다.} System.out.println(sum);
사전뜻으로 객체는 의사나 행위가 미치는 대상이라고 설명이 되어있다.즉 , 눈에 보이는 사물 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어떠한 행동을 하는 것이 객체가 된다.(1) 눈에 보이는 사물 : 사람, 자동차 등(2) 눈에 보이지 않는 어떠한 행동을 하는 것 : 주문, 생산, 관리
만들어 놓은 클래스를 main ()함수에서 사용하기위해 객체로 선언한 것을 인스턴스화라고 한다.이전에 배운 클래스는 객체로써 사용하기위해서 클래스를 정의한 것이다.정의해 놓은 클래스를 main()함수에서 객체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객체생성이라는 단계를 거쳐야한다.객체생성
접근제어자 라는 예약어를 통하여 클래스 내 멤버변수나, 메소드, 생성자의 접근권한을 지정할 수 있다.private 접근제어자를 사용하여 멤버 변수나 메서드를 지정하게 될 경우 해당 클래스에서만 변수와 메서드를 변경할 수 있으나, main() 함수에서는 변수와 메서드에
📕1. this 예약어 1-1 this 예약어란?
📕1. 배열 1-1 배열이란? > 자료형이 같고, 같은 공통점이 있는 변수들을 한 곳에 일렬로 나열하여 묶은 형태 1-2 배열 선언과 초기화 방법 >💡 배열 선언 문법 : 자료형[] 배열이름 = new 자료형[개수]; 💡 배열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 자료형[
📕1. 다차원 배열 1-1 다차원 배열이란? > 💡 이차원 이상으로 구현한 배열을 "다차원 배열"이라고 한다. 💡 다차원 배열은 평면이나 공간 개념을 구현하는데 사용한다. 1-2 이차원 배열 구조 > 자료형 + + 배열 이름 + = new 자료형 + [형 개수
배열을 사용하기 전 배열 길이를 정하고 시작했으며, 한 번 초기화 한 배열의 길이는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코드를 수정해야지만 사용이 가능했다.자바는 객체 배열을 좀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열 클레스 종류인 ArrayList라는 클래스를 제공한다.ArrayList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 중 하나가 상속이다.상속이란, 말 그대로 자식클래스가 부모클래스로부터 멤버변수와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class 하위클래스(자식클래스) extends 상위클래스(부모클래스) {}위 코드를 "자식클래스가 부모클래스를 상속받다"
<span style='background-color: >> 💡 상위 클래스에서 정의한 메서드가 하위클래스에서 구현할 내용과 맞지 않을 경 우에 하위클래스에서 이 메서드를 재정의 할 수 있다. 💡 public (반환형 일치) (메서드이름 일치)(매게변수 개수
<span style='background-color: <span style='background-color: Animal 자료형으로 인스턴스화 했기 때문에 Human 멤버변수와 메서드는 사용불가하고 <span style='background-color
💡 템플릿이란 용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틀이나, 견본을 의미한다즉 , <span style='background-color: >> 📢 템플릿 메서드는 추상클래스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Car 클래스를 생성하였고, 이 클래스는 drive(), stop() 추
📕1. final 예약어 1-1. final 예약어란? > 💡 마지막으로 정한 것이니 더 이상 수정할 수 없다라는 의미 1-2. final 예약어 사용 위치 |사용 위치|설명| |:--|:--| |변수|final 변수는 상수를 의미한다.| |메서드|final 메서
📕1. 인터페이스 1-1. 인터페이스란? > 💡 추상메서드와 상수로만 이루어져있다. 구현된 코드가 없기 때문에 당연히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인터페이스는 어떻게 사용하는 걸까? 아래에서 알아보자 1-2. 인터페이스 만들기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간단
우리가 지금까지 사용한 String, Integer 와 같은 클래스를 사용했는데 이들은 java.lang 패키지에 속해있는 클래스들이다.프로그램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본클래스 이며, 그런 기본 클래스의 최상의 클래스를 Object 클래스 라고 한다.자바에서 기본적으
자바는 문자열을 사용할 수 있도록 String클래스를 제공한다.<span style='background-color: String 을 사용할 때 문자열을 생성자의 매개변수로 하여 생성하는 방법과 이미 생성된 문자열 상수를 가리키는 방식이 있다.<span st
📕1. Wrapper 클래스 1-1. Wrapper 클래스 란? > - 기본 자료형을 객체형으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 기본 자료형들을 위한 클래스이다. 예를 들어 , 지금까지 정수를 사용할 때 기본형인 int 를 사용해왔다 그런데 정수를 객체형으로 사용해야 되는 경
모르는 클래스의 정보를 사용할 경우에 직접 클래스 정보를 찾아야 하는데 이때 Class 클래스를 활용한다.<span style='background-color:
📕1. 제네릭 1-1. 제네릭이란? > -
프로그램 개발을 건물 짓는 일에 비유해보자 원하는 건물을 지으려면 구조를 잘 잡아야 하듯이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도 사용하는 자료를 어떤 구조로 관리할 것인지가 중요하다.이 때 사용하는 것이 자료구조 이다.자료 구조는 프로그램 실행 중 메모리에 자료를 유지, 관리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