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alability Test - Thread Pool, DBCP 적정 설정값 찾기.

taehee kim·2023년 5월 5일
2

0. 이전 포스트

이전 포스트

  • 이전 포스트에서 테스트 시나리오, 테스트 장애지점, 테스트 병목원인에 대해서 분석하여습니다.
  • 이번 포스트에서는 해당 병목을 해결하기 위해서 Thread pool, DBCP적정 값을 설정해보려고 합니다.

1. Thread pool

1-1. Thread pool 왜 사용해야할까?

  1. Thread는 바로 생성될 수 없다.
    요청이 온 순간에 생성한다면 그 만큼 응답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2. Thread 생성 시 메모리 자원을 소모한다.
    각각의 thread는 JVM내에서 Stack, PC Register등의 메모리 자원을 독립적으로 할당 받아야한다.
  3. Thread가 많다고 해서 성능이 항상 향상 되지 않으며 오히려 하락할 수 있다.
    CPU-bound인 경우 하드웨어 스레드 개수 만큼의 스레드 생성은 성능 향상을 가져오지만, 이 이상 스레드가 생성되어도 Context Switching으로 인한 Overhead만 증가하고 성능이 오히려 하락한다.
    I/O-bound인 경우 Thread per Request model의 경우 하드웨어 스레드보다 많은 Thread를 생성하면 I/O작업으로 인해 CPU에 Thread가 할당 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또한 너무 많은 스레드 개수는 Context Switching으로 인한 Overhead만 증가시킬 수 있다.
  4. Thread Pool size, waiting Queue의 한계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다.
    스레드, Waiting Queue는 메모리 자원을 차지한다. 요청이 들어오는 만큼 무한정 늘려서 메모리 자원을 차지하게 한다면 메모리 부족 상태에 도달하여 장애 발생 요인이 될 수 있다.

1-2. Thread Pool Size 설정 기준

Little's Law

https://davidasync.medium.com/littles-law-tuning-the-thread-pool-size-fedfe4158fb
https://www.infoq.com/articles/Java-Thread-Pool-Performance-Tuning/
https://engineering.zalando.com/posts/2019/04/how-to-set-an-ideal-thread-pool-size.html

Little's Law는 초당 처리되길 원하는 요청 수와 하나의 요청을 서버내에서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스레드 점유시간)을 곱하여 스레드 개수를 정하는 식이다.

L = λ * W

L - the number of requests processed simultaneously
λ – long-term average arrival rate (RPS)
W – the average time to handle the request (latency)

경험적으로 찾기

처음 값은 Little's Law와 같은 방식으로 대략적으로 정한 후 조절해가면서 테스트 한다.

1-3. ThreadPoolExecutor와 설정 주요 옵션

https://docs.oracle.com/javase/8/docs/api/java/util/concurrent/ThreadPoolExecutor.html

위 링크의 메뉴얼에 정말 잘 설명 되어있기 때문에 가셔서 보시는걸 추천합니다.

  • Queueing
  1. Direct handoffs.(SynchronousQueue )
    default로 활용된다. 새로운 요청이 들어오면 큐에 저장하지 않고 바로 thread 로 넘겨주며 새로운 스레드를 생성한다.
  2. Unbounded queues.(LinkedBlockingQueue without a predefined capacity)
    링크드리스트를 이용한 큐로 만들면 용량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 Queue에 무한정 Task가 쌓이게 만들 수 있다. Queue에 무한정 자원이 쌓여 장애가 발생가능하다.
  3. Bounded queues.(ArrayBlockingQueue)
    큐의 사이즈를 ArrayBlockingQueue로 제한한다.
    일반적으로 thread poool설정을 할때 이 Queue를 활용한다.
  • Core and maximum pool sizes
    thread pool size를 지정한다. core size는 유지하려는 thread size이고 maximum pool size 최대값이다.

    queue size가 지정되어 있을 경우 queue가 가득 찼을 때 core size 스레드가 이미 다 사용되고 있을 때에 maximum pool size까지 thread가 생성된다.

1-4. Tomcat Thread pool설정 방법

해당 문서를 보고 ThreadPoolExecutor, ThreadPoolTaskExecutor를 Bean으로 등록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우리가 원하는 Tomcat의 Thread pool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다음 설정을 이용해아한다.

server:
  tomcat:
    threads:
      max: 18 # maximumPoolSize
      min-spare: 18 corePoolSize
    accept-count: 300 QueueSize
  port: 8080

1-5. @Async 비동기 스레드 스레드 풀 설정

  • 스레드 풀을 ThreadPoolTaskExecutor를 통해 생성해주고 빈으로 등록한다.
  • @Async에 해당 빈이름을 지정한다. @Async로 AOP를 통해 비동기 스레드를 할당 받을 때 해당 빈에서 할당받게 된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syncThreadPoolConfig {

    /**
     * Async Thread pool 별도 사용
     */
    @Bean
    public ThreadPoolTaskExecutor threadPoolTaskExecutor() {
        ThreadPoolTaskExecutor threadPoolTaskExecutor = new ThreadPoolTaskExecutor();
        threadPoolTaskExecutor.setCorePoolSize(5);
        threadPoolTaskExecutor.setMaxPoolSize(10);
        threadPoolTaskExecutor.setQueueCapacity(100);
        threadPoolTaskExecutor.setKeepAliveSeconds(60);
        return threadPoolTaskExecutor;
    }

}

2. Database Connection Pool

2-1. DBCP를 사용해야하는 이유

DB Connection을 생성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1. 애플리케이션 로직은 DB 드라이버를 통해 커넥션을 조회한다.
  2. DB 드라이버는 DB와 TCP/IP 커넥션을 연결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3 way handshake 같은 TCP/IP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 동작이 발생한다.
  3. DB 드라이버는 TCP/IP 커넥션이 연결되면 ID, PW와 기타 부가정보를 DB에 전달한다.
  4. DB는 ID, PW를 통해 내부 인증을 완료하고, 내부에 DB 세션을 생성한다.
  5. DB는 커넥션 생성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을 보낸다.
  6. DB 드라이버는 커넥션 객체를 생성해서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

2-2. DBCP Size 설정 기준

DB max_connections

DB설정 중에는 max_connections라는 설정이 있는데 Client에 최대 몇개까지의 연결을 허용할지를 의미합니다. max_connections 가 80 이라면 WAS가 4대인 경우 DB connection을 20개까지 생성할 수 있습니다. 20개 보다 많게 설정한다면 연결을 수립되지 않을 것입니다. 또한, 다른 Client로부터의 요청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여유분을 두어 85개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max_connections 는 어떻게 정할까 AWS에서는 RDS 스펙중 메모리를 고려하여 max_connections를 동적으로 정해줍니다.
대략 t3.micro인 경우 80~90 개 정도 됩니다.
RDS max_connections 공식문서

DBCP Deadlock 주의

  • 해당 링크는 이전에 작성했던 글인데 Thread pool size와 DBCP size에 따라서 DB Connection이 부족해지면서 Deadlock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Thread pool size > DBCP 인 경우 주의해야합니다.
    DBCP Deadlock 발생

Throughput 고려

  • 만약 0.5초 동안 Connection 을 사용하는 트랜잭션을 초당 1000개 처리하고 싶다면 대략적으로 500개 정도 되는 DBCP connection 이 필요하게 됩니다.

실험적으로 맞추기

위 사항들에 주의하면서 DBCP값을 조정해야합니다. DBCP는 다 active인데 DB에 자원이 여유롭다면 DBCP값을 조정하거나 WAS를 늘릴 필요가 있습니다.

2-3. HicariCP설정 주요 옵션

1) connectionTimeout (default : 30000 (30 seconds))

클라이언트가 pool에 connection을 요청하는데 기다리는 최대시간을 설정합니다.
설정한 시간을 초과하면 SQLException이 발생합니다. (허용 가능한 최소 연결 시간은 250ms )

2) maximunPoolSize (default : 10)

유휴 및 사용중인 connection을 포함하여 풀에 보관가능한 최대 커넥션 개수를 설정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커넥션이 없다면 connectionTimeout 시간 만큼 대기하고 시간을 초과하면 SQLException이 발생합니다.

3) minimumIdle (default : maximumPoolSize와 동일)

connection pool에서 유지가능한 최소 커넥션 개수를 설정합니다.
최적의 성능과 응답성을 원하면 이 값을 설정하지 않는게 좋다고 합니다.

항상 maximumPoolSize가 우선순위를 가진다.

4) idleTimeout (default : 600000 (10분))

connection pool에서 유휴 상태로 유지시킬 최대 시간을 설정합니다.
이 설정은 minimumIdle이 maximumPoolSize보다 작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ool에 있는 connection이 minimumIdle에 도달할 경우 이후에 반환되는 connection에 대해서 바로 반환하지 않고 idleTimeout 만큼 유휴 상태로 있다가 폐기됩니다.

5) maxLifeTime (default : 1800000 (30분))

connection의 최대 유지 시간을 설정합니다.
connection의 maxLifeTime 지났을 때, 사용중인 connection은 바로 폐기되지않고 작업이 완료되면 폐기됩니다.
하지만 유휴 커넥션은 바로 폐기됩니다.

중요! maxLifeTime 설정은, db의 wait_timeout 보다 2~3초 짧게 주자. 좀더 여유있게 준다면 5초 정도 짧게 주면 된다.이렇게 하지않으면 DB Connection 객체는 남아있는 데 DBMS에서는 Connection이 종료되어 예외가 발생할 수 있다.

6) readOnly (default : false)

pool에서 얻은 connection이 기본적으로 readOnly인지 지정하는 설정입니다.
데이터베이스가 readOnly 속성을 지원할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7) connectionTestQuery (default : none)

데이터베이스 연결이 여전히 활성화되어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pool에서 connection을 제공하기 전에 실행되는 쿼리입니다.
드라이버가 JDBC4를 지원하는 경우 이 속성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합니다.

2-4. HicariCP설정 방법

spring:
  datasource:
    hikari:
      connectionTimeout : 30000
      maximumPoolSize : 20
      maxLifetime : 295000 # db wait_timeout 보다 짧게 유지
      poolName : HikariCP
      readOnly : false

3. Thread Pool, DBCP 튜닝 후 테스트

3-1. 설정 값

Thread pool

  • max: 18 # maximumPoolSize
  • min-spare: 18 corePoolSize
  • accept-count: 300 QueueSize

HikariCP

  • connectionTimeout : 30000
  • maximumPoolSize : 20
  • maxLifetime : 295000 # db wait_timeout 보다 짧게 유지

RDS

  • max_connections: 85
  • wait_timeout: 300

3-2. Scalability Test 후 결과

부하 테스트 조건은 이전 포스트 시나리오와 동일합니다.(방 생성, 참여, 취소, 조회가 특정 비율로 일어남.)

테스트 조건

  • 조회 api

  • 수정및 Redis pub/sub, Kafka 이벤트 produce가 발생하는 api

테스트 결과

이전과 달리 서버가 비정상 종료하지 않고 부하를 견뎌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DBCP의 수를 늘리고 Thread pool제한을 준 것이 병목지점을 일부 해결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Throughput, Response time 평균, 표본 편차

  • 조회 api
    테스트 데이터가 너무 많아서 충첩되어 보이는데 처리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일정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는 것이 보입니다. 이때 응답시간의 표준편차가 높지 않게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해당 부하까지는 잘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병목 지점을 추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부하를 더 늘려서 테스트해야합니다.

  • 수정및 Redis pub/sub, Kafka 이벤트 produce가 발생하는 api

Web Application Server

  • CPU

  • DBCP

RDS

  • RDS의 경우도 CPU사용량은 늘었지만 DBCP증가로 트랜잭션을 잘 처리하고 있다.

4. 부하를 늘려 테스트 (요청 수 3배)

4-1. 테스트 부하 3배로 수정

조회

방매칭 참여 취소

4-2. 테스트 결과

Throughput, Response time 평균, 표본 편차

  • 조회 api
  • 방 매칭 참여, 취소 api

AWS 모니터링과 Grafana 모니터링 시간이 다른 이유는 AWS의 경우 시간대가 다르게 설정되어있어서 그렇습니다.

Web Application Server

  • CPU

  • Heap

  • Major GC

  • Minor GC

  • DBCP
    DBCP가 거의 다 활용되고 있다. 하나의 Connection의 사용 시간이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RDS자체에 부하가 발생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EC2 자체 하드웨어 사용률

  • CPU
  • JVM에 할당된 CPU Usage에 비해 EC2의 CPU사용률이 적다. JVM이 CPU자원을 더 많이 할당 받을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

RDS

처음으로 RDS의 CPU가 100% 까지 활용되었다. DB자체에 병목이 생기는 지점에 도달하였다.

4-3. AWS ASG Dynamic Scaling Policy

  • 현재 ASG의 Scaling 정책은 CPU 50이 넘으면 증설되게 되어있습니다.
  • 3배의 부하 테스트 과정에서 Auto scaling이 되어 WAS가 2배로 총 4대가 되었습니다.

기대하는 결과는 ASG에 WAS증설이 응답시간을 낮추고 TPS를 증가시켜 주길 원합니다.

4-4. 병목이 생긴 이유를 계산을 통해 파악해보자.

  1. 위에서의 그래프를 보면 DB Connection당 하나의 트랜잭션을 처리하는데 0.2s정도가 걸린다.
  2. 그런데 DBCP는 최대 80개를 사용할 수 있다.
  3. 산술적으로 초당 최대 400개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4. 반면 현재 요청은 JMeter에서 1500의 스레드가 응답을 받은 후 1초마다 발생시키도록 설정해두었다. 따라서 하나의 요청이 2초마다 온다고 여유를 두더라도 750~1000개의 요청이 초마다 오기 때문에 트랜잭션을 모두 처리할 수 없다.
  5. 반면 3배로 부하를 조절하기 이전에는 초당 대략 250~330개의 요청이었기 때문에 심각한 Response time 저하 없이 요청을 처리할 수 있었다.

4-5. 테스트 결과 분석

  1. 부하 증가 전과 달리 DBMS, DBCP, WAS CPU등의 자원이 최대 치까지 사용된다.
  2. 3배의 부하에서는 서버가 종료되거나, DB가 종료되는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응답시간 평균이 5000ms정도로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기 힘든 수준에 도달한다.
  3. 테스트 상황 중 ASG에 의해서 WAS가 2배로 증설되었고, DBCP또한 2배가 되었지만 12000 정도의 분당 트랜잭션이 14000정도까지 밖에 증가 되지 않았으며 응답시간은 5초에 육박한다. WAS가 병목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4. DB 사용률이 100%에 도달 했기 때문에 DB에서 병목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4-6. 테스트 결과 결론

ASG에 의해서 WAS가 2배로 증가되어도 증가전과 마찬가지로 부하를 해결 하지 못했고 DB 성능도 100% 가까이 사용되는 것으로 보아 DB에서 병목이 발생했다.

5. 결과 요약

DBCP 병목 해결 결과

DBCP로 인한 병목을 해결하여

  • Article 조회 기준
    1. TPS 66 -> 200 으로 3배 증가
    2. 응답 시간 3.6s -> 0.2s
  • Article 참여, 취소 기준
    1. TPS 7 -> 18 으로 2.5배 증가
    2. 응답 시간 3.6s -> 0.25s

추가적인 요청 부하 증가(요청 스레드 3배 증가)시 DB에서 병목 발생

  • Article 조회 기준
    1. TPS 200 -> 240 으로 1.2배 증가
    2. 응답 시간 0.2 -> 5.5s
  • Article 참여, 취소 기준
    1. TPS 18 -> 22 으로 1.2배 증가
    2. 응답 시간 0.2s -> 5.5s

결국에 DB가 병목인 상황을 맞이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 포스트에서는 Cache를 통해 DB에 가해지고 있는 읽기 부하를 분산시켜보고자 합니다.

profile
Fail Fas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