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컴포넌트 스캔

Xonic·2022년 5월 15일
0

Java-Spring

목록 보기
3/7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컴포넌트 스캔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 시작하기.

  • 지금까지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는, 자바 코드의 @Bean이나 XML<bean> 등을 통해서 설정 정보에 직접 등록할 스프링 빈을 나열했다.
  • 빈이 수백개가 되면 일일히 등록하기도 귀찮고, 설정 정보도 커지고, 누락하는 문제 발생!
  • 그래서 자동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컴포넌트 스캔이라는 기능을 제공.
  • 의존관계 자동 주입 @Autowired라는 기능도 제공!

간단 코드

package hello.core;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mponentSc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FilterType;
import static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mponentScan.*;

@Configuration
@ComponentScan(
 excludeFilters = @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Configuration.class))
public class AutoAppConfig {

}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주입 동작 방법

  1. @ComponentScan

    컨포넌트스캔

  • @ComponentScan@Component가 붙은 클래스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
  • 이 때 스프링 빈의 기본 이름은 클래스명을 사용하되, 맨 앞글자만 소문자를 사용한다.
    • 빈 이름 기본 전략: MemberServiceImpl 클래스 ⇒ memberServiceImpl
    • 빈 이름 직접 지정: 만약 스프링 빈의 이름을 직접 지정하고 싶으면, @Component(”이름") 이런식으로 이름을 부여하면 된다.
  1. @Autowired 의존관계 자동 주입

    의존관계

  • 생성자에 @Autowired를 지정하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해당 스프링 빈을 찾아서 주입한다.
  • 이 때 기본 조회 전략은 타입이 같은 빈을 찾아서 주입한다.
  • 생성자에 파라미터가 많아도 다 찾아서 자동으로 주입한다.

탐색 위치와 기본 스캔 대상

탐색할 패키지의 시작 위치 지정

  • 모든 자바 클래스를 다 컴포넌트 스캔하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 그래서 꼭 필요한 위치부터 탐색하도록 시작
  •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ComponentScan(
			basePackages = "hello.core"
)
  • basePackages: 탐색할 패키지의 시작 위치를 지정한다. 이 패키지를 포함해서 하위 패키지를 모두 탐색한다.
    • basePackages = {”hello.core”, “hello.service”} 이렇게 여러 시작 위치를 지정할 수도 있다.
  • basePackageClasses: 지정한 클래스의 패키지를 탐색 시작 위치로 지정한다.
  • 만약 지정하지 않으면 @ComponentScan 이 붙은 설정 정보 클래스의 패키지시작 위치가 된다.

권장하는 방법

  • 패키지 위치를 직접 지정하지 않고, 설정 정보 클래스의 위치를 프로젝트 최상단에 두는 것이다. 최근 스프링 부트도 이 방법을 기본으로 제공한다.

컴포넌트 스캔 기본 대상

  • @Component: 컴포넌트 스캔에서 사용
  • @Controller: 스프링 MVC 컨트롤러에서 사용
  • @Service: 스프링 비즈니스 로직에서 사용
  • @Repository: 스프링 데이터 접근 계층에서 사용
  • @Configuration: 스프링 설정 정보에서 사용

참고: 해당 어노테이션 들은 모두 @Component가 기본적으로 있다. 애노테이션이라는 것은 상속 관계라는 것이 없으므로, 이렇게 애노테이션이 특정 애노테이션을 들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자바 언어가 지원하는 기능은 아니고, 스프링이 지원하는 기능이다.

컴포넌트 스캔의 용도 뿐만 아니라, 다음 애노테이션이 있으면 스프링은 부가 기능을 수행한다.

  • @Controller: 스프링 MVC 컨트롤러로 인식
  • @Repository: 스프링 데이터 접근 계층으로 인식하고, 데이터 계층의 예외를 스프링 예외로 변환해준다.
    -@Configuration: 앞서 보았듯이 스프링 설정 정보로 인식하고, 스프링 빈이 싱글톤을 유지하도록 추가 처리를 한다.
  • @Service: 사실 @Service는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는다. 대신 개발자들이 핵심 비즈니스 로직이 여기에 있겠구나 라고 비즈니스 계층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된다.

FilterType 옵션

  • ANNOTATION: 기본값, 애노테이션을 인식해서 동작한다.
    • ex) org.example.SomeAnnotation
  • ASSIGNABLE_TYPE: 지정한 타입과 자식 타입을 인식해서 동작한다.
    • ex) org.example.SomeClass
  • ASPECTJ: AspectJ 패턴 사용
    • ex) org.example..Service
  • REGEX: 정규 표현식
    • ex) org.example.Default.*
  • CUSTOM: TypeFilter 이라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서 처리
    • ex) org.example.MyTypeFilt

참고: @Component 면 충분하기 때문에, includeFilters 를 사용할 일은 거의 없다. excludeFilters는 여러가지 이유로 간혹 사용할 때가 있지만 많지는 않다.
특히 최근 스프링 부트는 컴포넌트 스캔을 기본으로 제공하는데, 개인적으로는 옵션을 변경하면서 사용하기보다는 스프링의 기본 설정에 최대한 맞추어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선호하는 편이다.

수동 빈 등록과, 자동 빈 등록이 중복 발생하면, 수동 빈이 우선권을 가지기 때문에 최근 스프링 부트에서는 수동 빈 등록과 자동 빈 등록이 충돌나면 오류가 발생하도록 기본 값을 바꾸었다.


의존 관계 자동 주입

  • 의존 관계 주입은 크게 4가지 방법이 있다.
    • 생성자 주입
    • 수정자 주입(setter 주입)
    • 필드 주입 : 사용 X
    • 일반 메서드 주입

참고: 자바빈 프로퍼티, 자바에서는 과거부터 필드의 값을 직접 변경하지 않고, setXXX, getXXX라는 메서드를 통해서 값을 읽거나 수정하는 규칙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자바 빈 프로퍼티 규약이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자바빈 프로퍼티로 검색!

생성자 주입을 선택해라!

과거에는 수정자 주입과 필드 주입을 많이 사용, 최근에는 스프링을 포함한 DI 프레임워크 대부분이 생성자 주입을 권장한다. 그 이유는?

불변

  • 대부분의 의존관계 주입은 한번 일어나면 애플리케이션 종료시점까지 의존관계를 변경할 일이 없다. 오히려 대부분의 의존관계는 애플리케이션 종료 전까지 변하면 안된다.(불변해야 한다.)
  • 수정자 주입을 사용하면, setXxx 메서드를 public으로 열어두어야 한다.
  • 누군가 실수로 변경할 수도 있고, 변경하면 안되는 메서드를 열어두는 것은 좋은 설계 방법이 아니다.
  • 생성자 주입은 객체를 생성할 때 딱 1번만 호출되므로 이후에 호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불변하게 설계할 수 있다.

누락

  • 의존성이 필요한 빈을 순수한 자바 코드로 테스트할 때, set으로 손수 주입해주지 않으면 당연히 필요한 의존성이 없으면 NPE이 발생한다.

final 키워드

  • 생성자 주입 방식은 final 키워드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제일 권장하는 방식

정리

  • 생성자 주입 방식을 선택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프레임워크에 의존하지 않고, 순수한 자바 언어의
    특징을 잘 살리는 방법이기도 하다.
  • 기본으로 생성자 주입을 사용하고, 필수 값이 아닌 경우에는 수정자 주입 방식을 옵션으로 부여하면 된다.
    생성자 주입과 수정자 주입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 항상 생성자 주입을 선택해라! 그리고 가끔 옵션이 필요하면 수정자 주입을 선택해라. 필드 주입은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
@Autowired
private Service service; // => X 사용하지 마세요.
// 왜냐하면, 변경 불가하기 때문에 스프링 컨테이너에 매우 의존적임.
// 이게 왜 문제가 되냐면, 유닛 테스트가 불가하다.
// 테스트 코드 또는 @Configration 에서만 사용해야 한다.

////////////

private final Service service;

@Autowired
public Controller(Service service) {
	this.service = service;
}

조회 빈이 2개 이상 - 문제

  • @Autowired 는 타입(Type)으로 조회한다.
  • 타입으로 조회하기 때문에, 마치 다음 코드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실제로는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ac.getBean(DiscountPolicy.class)
  • 그렇기 때문에 타입으로 조회하면 2개 이상일 때 문제가 발생한다.
  • 이때 하위 타입으로 지정할 수도 있지만, 하위 타입으로 지정하는 것은 DIP를 위배하고 유연성이 떨어진다.
  • 그리고 이름만 다르고, 완전히 똑같은 타입의 스프링 빈이 2개 있을 때 해결이 안된다.
    스프링 빈을 수동 등록해서 문제를 해결해도 되지만, 의존 관계 자동 주입에서 해결하는 여러 방법이 있다.

@Autowired 필드 명, @Qualifier, @Primary

조회 대상 빈이 2개 이상일 때 해결 방법

  • @Autowired 필드 명 매칭
    1. 타입 매칭
    2. 타입 매칭의 결과가 2개 이상일 때 필드명, 파라미터 명으로 빈 이름 매칭
  • @Qualifier -> @Qualifier끼리 매칭 -> 빈 이름 매칭
    1. @Qualifier끼리 매칭한다.
    2. 빈 이름 매칭
    3. NoSuchBeanDefinitionException 예외 발생
  • @Primary 사용

@Primary, @Qualifier 활용

코드에서 자주 사용하는 메인 데이터베이스의 커넥션을 획득하는 스프링 빈이 있고, 코드에서 특별한 기능으로 가끔 사용하는 서브 데이터베이스의 커넥션을 획득하는 스프링 빈이 있다고 생각해보자.

메인 데이터베이스의 커넥션을 획득하는 스프링 빈은 @Primary 를 적용해서 조회하는 곳에서 @Qualifier 지정 없이 편리하게 조회하고, 서브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빈을 획득할 때는 @Qualifier 를 지정해서
명시적으로 획득 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면 코드를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이때 메인 데이터베이스의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 @Qualifier 를 지정해주는 것은 상관없다.

우선순위
@Primary 는 기본값 처럼 동작하는 것이고, @Qualifier 는 매우 상세하게 동작한다. 이런 경우 어떤 것이
우선권을 가져갈까? 스프링은 자동보다는 수동이, 넒은 범위의 선택권 보다는 좁은 범위의 선택권이 우선 순위가 높다. 따라서 여기서도 @Qualifier 가 우선권이 높다.


애노테이션 직접 만들기

@Qualifier("mainDiscountPolicy") 이렇게 문자를 적으면 컴파일시 타입 체크가 안된다. 다음과 같은 애노테이션을 만들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Target({ElementType.FIELD, ElementType.METHOD, ElementType.PARAMETER,
ElementType.TYPE, ElementType.ANNOTATION_TYPE})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Documented
@Qualifier("mainDiscountPolicy")
public @interface MainDiscountPolicy {
}
  • 원래는 Bean 주입시 Qualifier과 이름을 직접 둘 다 적어줘야하는데, 실수할 수 있기 때문에 애노테이션을 만들어서 붙이는 방법 존재!

조회한 빈이 모두 필요할 때, List, Map

  • 같은 interface를 implements하는 여러 개의 빈을 등록했을 때 Map과 List로 받을 수 있음
  • 예를 들어, 고정 할인 정책과 정률 할인 정책이 있으면, 스프링 빈의 이름으로 Map을 조회하여 외부에서 어떤 빈을 사용하여 로직을 수행할지 결정할 수 있다.

자동, 수동의 올바른 실무 운영 기준

편리한 자동 기능을 기본으로 사용!

그럼 수동 빈 등록은 언제 사용?

애플리케이션은 크게 업무 로직과 기술 지원 로직으로 나눌 수 있다.

  • 업무 로직 빈: 웹을 지원하는 컨트롤러, 핵심 비즈니스 로직이 있는 서비스, 데이터 계층의 로직을 처리하는 레포지토리등이 모두 업무 로직이다.
    보통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개발할 때 추가되거나 변경된다.
  • 기술 지원 빈: 기술적인 문제나 공통 관심사를 처리할 때 주로 사용된다. 데이터베이스 연결이나, 공통 로그 처리처럼 업무 로직을 지원하기 위한 하부 기술이나 공통 기술들이다.
  • 업무 로직은 숫자도 매우 많고, 한번 개발해야 하면 컨트롤러, 서비스, 리포지토리 처럼 어느정도 유사한 패턴이 있다.
    이런 경우 자동 기능을 적극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통 문제가 발생해도 어떤 곳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명확하게 파악하기 쉽다.
  • 기술 지원 로직은 업무 로직과 비교해서 그 수가 매우 적고, 보통 애플리케이션 전반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업무 로직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디가 문제인지 명확하게 잘 들어나지만, 기술 지원 로직은 적용이 잘 되고 있는지 아닌지 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런 기술 지원 로직들은 가급적 수동 빈 등록을 사용해서 명확하게 들어내는 것이 좋다.

애플리케이션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기술 지원 객체는 수동 빈으로 등록해서 딱! 설정 정보에 바로 나타나게 하는 것이 유지보수 하기 좋다.

비즈니스 로직 중에서 다형성을 적극 활용할 때
의존관계 자동 주입 - 조회한 빈이 모두 필요할 때, List, Map을 다시 보자.

  • DiscountService 가 의존관계 자동 주입으로 Map<String, DiscountPolicy> 에 주입을 받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여기에 어떤 빈들이 주입될 지, 각 빈들의 이름은 무엇일지 코드만 보고 한번에 쉽게 파악할 수 있을까? 내가 개발했으니 크게 관계가 없지만, 만약 이 코드를 다른 개발자가 개발해서 나에게 준 것이라면 어떨까?
  • 자동 등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파악하려면 여러 코드를 찾아봐야 한다.
    이런 경우 수동 빈으로 등록하거나 또는 자동으로하면 특정 패키지에 같이 묶어두는게 좋다! 핵심은 딱 보고 이해가 되어야 한다!

정리

  • 편리한 자동 기능을 기본으로 사용
  • 직접 등록하는 기술 지원 객체는 수동 등록
  • 다형성을 적극 활용하는 비즈니스 로직은 수동 등록을 고민해보자.

참조

인프런 김영한님 강의

profile
공부 한 것을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