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tructure] 해시 알고리즘 (hash algorithm)

Hailey Park·2022년 2월 21일
0

자료구조

목록 보기
2/2

해시의 등장 배경

배열은 내부 인덱스를 이용하여 자료의 검색이 한번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빠른 검색 속도를 보이는 반면 데이터의 삽입, 삭제 시 많은 데이터가 밀리거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반면에 연결리스트는 삽입, 삭제 시 인근 노드들의 참조 값만 수정해 줌으로써 빠른 처리가 가능했었다. 단, 처음 노드 마지막 노드 이외의 위치에서 데이터를 삽입, 삭제할 경우나 데이터를 검색할 경우에는 해당 노드를 찾기 위해서 처음부터 순회 검색을 해야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수가 많아질수록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방법이 Hash다.

Hash

  • 데이터를 다루는 기법 중 하나

  • 임의의 크기를 가진 데이터(key)를 고정된 크기의 데이터(value)로 변화시켜 저장하는 것

  • 키에 대한 해시 값을 사용하여 값을 저장하고 키-값 쌍의 갯수에 따라 동적으로 크기가 증가하는 associate array

  • 키에 대한 해시값을 구하는 과정을 hashing(해싱)이라고 하며 이때 사용하는 함수(알고리즘)를 해시 함수라고 함

  • 해시 값 자체를 index로 사용하기 때문에 평균 시간 복잡도가 O(1)로 매우 빠름

  • 특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인덱스는 그 데이터만의 고유한 위치이기 때문에 삽입 시 다른 데이터의 사이에 끼어들거나 삭제 시 다른 데이터로 채울 필요가 없으므로 삽입과 삭제 시 데이터의 이동이 없도록 만들어진 구조

  • 해시가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배열을 Hash Table이라고 하며 그 크기에 따라서 성능 차이가 많이 날 수 있다.

Hash Code

Hash로 값 생성 시, 고유의 주소값이 생성됨 -> 이것을 숫자로 변환한 것을 해시코드라고 부름.

Hash function

  •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를 목적으로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일정한 길이의 비트열로 반환시켜주는 함수
  • 원래의 값이나 키는 색인에 사용되며, 그 값이 관련된 데이터가 검색될 때마다 다시 사용된다.
  • 계산이 복잡하지 않고 키값에 대해 중복없이 해시값을 고르게 만들어 내는 함수가 좋은 함수 (충돌이 일어나지 않을수록 좋다)
  • 키들이 어떤 특정한(가시적인) 패턴을 가지더라도 해시함수 값이 불규칙적이 되도록 하는게 바람직함 (해시 함수 값이 키의 특정 부분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아야함)
  • 문자열(string)을 받아서 숫자를 반환하는 함수 (함수는 문자열에 대해 숫자를 mapping)
  • 대표적으로 나눗셈법(division method)과 곱셈법(multiplication method)이 있다.

Hash Table

  •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키를 해시값으로 매핑하고, 이 해시값을 색인(index) 혹은 주소 삼아 데이터의 값(value)을 키와 함께 저장하는 자료구조
  • bucket(버킷) 또는 slot(슬롯) :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
  • 해시테이블의 기본 연산 : 삽입, 삭제, 탐색(search)

Hash Table 장/단점

  • 장점
    • 해시 테이블은 key-value가 1:1로 매핑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 삭제, 검색 과정에서 모두 평균적으로 O(1)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고 있다.
  • 단점
    • 해시 충돌 발생
    • 순서/관계가 있는 배열에 어울리지 않는다 (순서에 상관없이 key만을 가지고 삽입/검색/삭제 하기 때문)
    • 공간 효율성이 떨어짐 (데이터가 저장되기 전에 미리 저장공간을 확보해야하기 때문. 공간이 부족하거나 아예 채워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
    • hash function의 의존도가 높다. (평균 시간 복잡도가 O(1)이지만 해시함수가 매우 복잡하다면 해시 테이블의 연산 속도는 증가)

Hash Collision 해시 충돌

  • 해시 충돌이란 서로 다른 데이터가 해싱을 거친 후 같은 키값을 가지게 되는 경우
  • 같은 키값을 갖는 데이터가 생긴다는 것은, 특정 키의 버켓에 데이터가 집중된다는 뜻 -> 너무 많은 해시 충돌은 해시테이블의 성능을 떨어뜨린다.
  • 실질적으로 해시충돌 발생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데이터 -> 키값의 1대1 대응은 맞을 수 있으나, 키값 -> 데이터는 1대1 대응이 아니라고 봐야 함. 각 데이터는 무조건 하나의 키 값을 가지지만, 키 값 하나에는 여러 데이터가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
    -> 해시 함수를 통해 데이터를 키값으로 암호화는 가능하나, 그 키 값을 다시 해시함수를 역으로 거쳐서 데이터 값으로 일종의 복호화하는 과정은 불가능하다고 봐야함.
  • 충돌에 의한 해결 방법은 크게 두가지 방식이 있다. - chaining & open addressing(개방 주소법)

Chaining

  • 버켓 내에 연결리스트(Linked List)를 할당하여, 버켓에 데이터를 삽입하다가 해시 충돌이 발생하면 연결리스트로 데이터들을 연결하는 방식.
  • 그림을 보면 Sandra Dee라는 사람의 연락처를 삽입할 때, 충돌이 일어나니 버켓 내에서 연결리스트로 데이터를 연결함

Open Addressing 개방 주소법

  • 체이닝의 경우 버켓이 꽉 차더라도 연결리스트로 계속 늘려가기에, 데이터의 주소값은 바뀌지 않는다. (Closed Address)
  • 개방주소법의 경우에는 해시 충돌이 일어나면 다른 버켓에 데이터를 삽입한다.
  • 대표적으로 3가지가 있다.
    • 선형 탐색 (Linear Probing): 해시 충돌시 다음 버켓, 혹은 몇 개를 건너뛰어 데이터를 삽입 (순차 탐색을 한다)
    • 제곱 탐색 (Quadratic Probing): 해시 충돌 시 제곱만큼 건너뛴 버켓에 데이터를 삽입(1,4,9,16...)
    • 이중 해시(Double Hashing): 해시 충돌 시 다른 해시 함수를 한 번 더 적용한 결과를 이용함. 다른 방법들 보다 많은 연산을 하게 됨

Chaining과 Open Addressing의 비교

  • Chaining(체이닝)의 장점
    • 연결 리스트만 사용하면 된다. 즉, 복잡한 계산식을 사용할 필요가 개방주소법에 비해 적다.
    • 해시 테이블이 채워질수록, Lookup 성능저하가 Linear하게 발생한다. (위 그림 참조)
  • Open Addressing(개방주소법)의 장점
    • 체이닝처럼 포인터가 필요없고, 지정한 메모리 외 추가적인 저장공간도 필요없다.
    • 삽입, 삭제 시 오버헤드가 적다.
    • 저장할 데이터가 적을 때 더 유리하다.

버킷 확장(Resize)

  • 해시 테이블 내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버킷을 늘려주는 것

  • 우리가 생각하는 배열이나 객체처럼 무작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의 크기가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임의로 늘려줘야 한다

  • 해시 테이블을 만들 때 일정 버킷수를 할당해준다. 따라서 데이터를 저장하다가 테이블 내의 버킷 수가 일정 임계점에 도달하면, 버킷 수를 늘려줘야 한다.

  • 일반적으로는 데이터가 들어있는 해시 버킷의 갯수가 75%가 됐을 때, 버킷의 수를 두배로 늘려준다.

Reference

해시(Hash)와 해시충돌(Hash Collision)

해시테이블(HashTable)과 해시함수(HashFunction)에 대해서

해시 알고리즘 (hash algorithm)

해시(Hash) 알고리즘

profile
I'm a deeply superficial person.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