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ctrl + f5로 출력)
-숫자형
정수형 실수형
변수정의=
a = 123
b = -178
앞에서 변수를 정의 하는 부분이 없다.
print(a, type(a))
// 숫자를 나눔(몫만 구함)
% 숫자를 나눔
** 숫자를 제곱함
타언어에서 사용하는 ++.-- 표현은 불가하다.
문자형 String
따옴표를 사용하면 문자형으로 표현 가능하다 """ 는 주로 주석을 표현할때 사용 된다.
문자와 문자만 더할수 있다
터미널이 복잡한 경우 정리 하고 싶으면 터미널에 csl 를 치면 정리된다.
%d %s .... (숫자가 들어간다) -키워드에 따라 다름
format 바인딩{} 자릿수에 맞춰서 바인딩.
fstring {변수명} 에 맞춰서 바인딩
(ex)
name = "파이"
pi = 3.14159265359
f_str = f"{name}는 {pi}입니다 = >(f"....) 형태로 사용 해야한다.
-리스트(중요★)
-자바의 배열 ,리스트
-자바스크립트, 배열과 비슷
score = [100,20,30,40,50] - []를 사용 , 를가지고 값을 이어붙힌다.
print(score)
합계
sum_score = sum(score) sum은 파이썬의 키워드 합계를 구해줌
모든값을 리스트 안에 넣을수 있지만 동일한 형태를 넣어야 한다.
리스트는 "시퀀스"타입
시퀀스는 값을 분히 할당이 가능하다.
(중요★)str1, str2 = "AB" (에크마의 구조 분해와 컨셉이 비슷하다)
print(str1)
print(str2)
리스트형도 가능하다
a,b=[1,2]
print(a)
print(b)
여러개의 값을 분리 할당하려면 기호를 사용한다 (의 의미는 나머지 라는뜻 를 여러개 사용하는것은 불가능 하다.) 결론:첫번째는a가 가져가고 마지막c는 가장 끝 숫자인 7을 가져가게 된다.
a,b,c = [1,2,3,4,5,6,7]
print(a)
print(b)
print(c)
파이썬의 시퀀스타입은"문자열","리스트","튜플" 이 존재 한다.
lst = list("Hello , World!") => 문자열을 list로 변경 한다.
print(lst)
['H', 'e', 'l', 'l', 'o', ' ', ',', ' ', 'W', 'o', 'r', 'l', 'd', '!'] 결과
리스트 반복 * 를 사용
리스트 삭제
lst = [1,2,3]
del lst[1]
print(lst)
====del 키워드를 사용해서 삭제 할 수있다.==== 없는 값을 삭제 할 경우 indexerror가 발생한다.
리스트 추가
lst = [1,2,3]
lst.append(4)
print(lst) = [1,2,3,4]
lst = [1,2,3]
lst.append('넷') = [1, 2, 3, '넷']
정렬 list.sort(),sorted(list)=새로운 리스트를 복제 해야할때
lst = [5,6,1,8,4,2,7,9]
lst.sort()
print(lst) = [1, 2, 4, 5, 6, 7, 8, 9]
lst = [5,6,1,8,4,2,7,9]
sorted_lst = sorted(lst)
print(lst)
print(sorted_lst) = [5, 6, 1, 8, 4, 2, 7, 9] 원본 유지되고
[1, 2, 4, 5, 6, 7, 8, 9] 새거를 또 받아옴
역정렬 list_reverse(), reversed(list)
lst = [5,6,1,8,4,2,7,9]
lst.reverse()
print(lst)
lst = [5,6,1,8,4,2,7,9]
print(sorted_lst)
sorted_lst = list(sorted_lst)
print(sorted_lst)
삽입(insert())
lst = [2,3,4]
lst.insert(0,1) 0인덱스에 1추가
print(lst)
제거 remove() #del은 인덱스로 지우는거고 remove는 값으로 지우는거ㅅ
lst = [1,2,3,4]
lst.remone(1)
print(lst)
lst = [1,2,3,1,2,3]
lst.remove(1) # 값이 중복될 경우, 첫번쨰 1 만삭제
제거후 반환 pop()
lst = [0,1,3,4]
item = lst.pop(0) 0번 인덱스 값을 item에 할당 한 후 해당 요소를 리스트에서 삭제
---그냥참고---
FIFO =>Queue
LIFO =>Stack 제일 마지막에 들어간것이 첫번째로 나온다
튜플
-list와 비슷하다 하지만 변경이 불가능 하다(삭제,수정,추가) 불가
-값이 할당된 이후 확인만 가능하다.
-튜플도 시퀀스 타입이다(원본데이터는 절대 수정불가.)
-튜플은()괄호로 표현 list는 [] 사용
-리스트->튜블로 변환 가능하다. ex) tuple([1,2,3,4,5])
-상수처럼 사용하려면 튜플 변수처럼 사용하려면 list 사용
##인터프리터 언어(Interpreted Language)
소스 코드를 직접 실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실행 환경을 사용하여 소스 코드를 한 줄씩 해석하고 실행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이러한 언어는 컴파일 언어와 대비되며, 컴파일 언어는 소스 코드를 기계 코드로 변환하는 컴파일러를 사용합니다.
인터프리터 언어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스 코드를 직접 실행: 인터프리터 언어는 소스 코드를 실행하는 동안 컴파일 단계를 거치지 않습니다. 소스 코드를 한 줄씩 읽고 해석하며 실행합니다.
높은 이식성: 인터프리터 언어는 일반적으로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으며, 여러 플랫폼에서 실행할 수 있는 이식성이 뛰어납니다. 인터프리터가 설치된 환경에서 소스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런타임 오류 감지: 인터프리터는 소스 코드를 실행하는 동안 오류를 감지하고 즉시 보고합니다. 이로 인해 런타임 오류를 신속하게 수정할 수 있어 디버깅이 상대적으로 용이합니다.
소스 코드 수정 및 실행: 인터프리터 언어는 소스 코드를 수정한 후 즉시 실행할 수 있으므로 개발 과정이 빠르고 유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