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외부, 내부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y55n·2022년 3월 27일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23/50

수제비 2022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험서를 보고 공부한 기록입니다.


👉인터페이스 산출물

  • 인터페이스는 크게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와 시스템 인터페이스로 구분된다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별 인터페이스 산출물

  • 분석단계
    •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을 통한 인터페이스 정의서 작성
  • 명세 단계
    • 인터페이스 정의서에 따라 인터페이스 명세서 작성
    • 인터페이스 명세서와 인터페이스 정의서는 구분 없이 동일하게 부르기도 함
  • 설계 단계
    • 인터페이스 명세에 따라 설계 단계를 통해 구체적인 인터페이스 설계서 작성
    • 일반적인 인터페이스 설계서는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와 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명세서로 나눠짐
    •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서(인터페이스 id별 별개 정의서)로 구성
    • 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명세서(-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정의서)는 각 기능의 세부 인터페이스 정보 정의

👉인터페이스 설계서

1.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 개념

  •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는 이 기종 시스템 및 컴포넌트 간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해 각 시스템의 교환되는 데이터, 업무, 송수신 주체 등이 정의된 문서이다
  •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현황 파악을 위해서 인터페이스 목록 및 각 인터페이스의 상세 데이터 명세, 각 기능의 세부 인터페이스 정보를 정의한 문서이다

2. 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 사례

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 사례는 인터페이스 번호 및 인터페이스가 되는 시스템의 정보 및 관련 요구사항 ID를 목록 형태로 보여준다

3. 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서

  • 각 인터페이스 번호 당 인터페이스가 되는 데이터, 데이터 형식, 송수신 시스템의 정보 등을 구체화하는 문서이다
  • 시스템 인터페이슴 목록에 있는 각 인터페이스의 상세 정보를 보여준다

4. 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명세서

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명세서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저장과 속성 등의 상세 내역을 포함한다

👉정적 · 동적 모형 및 데이터 명세에 따른 인터페이스 설계서

1. 정적 · 동적 모형을 통한 인터페이스 설계서

  • 정적 · 동적 모형을 통해 각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시스템, 컴포넌트별 인터페이스와 요구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 간 트랜잭션 확인을 통해 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교환되는 트랜잭션을 확인할 수 있다

2. 데이터 명세를 통한 인터페이스 설계서

  • 데이터 명세는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서비스에 대한 상세 명세를 표현하는 산출물이다
  • 제공하는 서비스 목록, 인터페이스 방식 및 명세, 리턴 형태까지 정의를 상세하게 표현한다

👉내부 · 외부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방안

1. 인터페이스 설계서의 내부 · 외부 모듈의 기능 확인

[인터페이스 설계서를 통한 기능 확인]

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서

  • 인터페이스 설계서의 하나인 인터페이스 정의서를 통하여 외부 및 내부 모듈의 기능을 확인
  • 인터페이스 목록의 송신 및 전달 영역까지는 외부 모듈에 포함, 수신 측 영역은 내부 모듈에 포함된다고 판단 가능

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명세서

  • 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명세서를 통하여 상세 기능에 대한 내부, 외부 모듈의 기능 확인 가능
  • 오퍼레이션 및 사전 조건을 통해 상세 기능의 외부 모듈 확인 가능
  • 사후 조건을 통해 상세 기능의 내부 모듈 확인 가능

[정적 · 동적 모형을 통한 기능 확인]

  • 인터페이스가 표현된 정적, 동적 다이어그램을 통해서 내부 모듈 기능 및 외부 모듈 기능의 확인 가능

2.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과 데이터의 인터페이스 확인

인터페이스 설계서를 통해 식별된 내부 및 외부 모듈의 기능을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확인한다

인터페이스 설계서를 통한 공통 기능 확인

  • 인터페이스 설계서의 내부, 외부 모듈을 기반으로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 확인

인터페이스 설계서를 통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 인터페이스 설계서에 정의된 내부, 외부 모듈을 기반으로 공통 기능을 식별하고, 이를 중심으로 필요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항목을 확인
profile
나 혼자 공부 기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