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요구사항의 시스템화 타당성 분석

y55n·2022년 3월 24일
1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5/50

수제비 2022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험서를 보고 공부한 기록입니다.


업무 분석가가 수집하고 분석한 요구사항이 개발하고자 하는 응용 소프트웨어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 검토하고 확인해야 한다

[요구사항의 기술적 타당성 검토]

요구사항의 기술적 타당성 검토는 성능 및 용량 산정의 적정성, 시스템 간 상호 운용성, IT 시장 성숙도 및 트렌드 부합성, 기술적 위험 분석의 4단계를 거친다

▼요구사항의 기술적 타당성 검토

검토 항목내용
성능 및 용량 산정의 적정성-목표 시스템의 용량이 산정되면, 과거 유사 프로젝트 경험치를 적용하여 필요시 재조정한 후, 성능 관련 비기능 요구사항과 비교하여 적정성 여부 판단
시스템 간 상호 운용성-요구사항 중에서 목표 시스템이 조직 내외 타 시스템과의 연동을 요구하는 경우, 상호 운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
IT 시장 성숙도 및 트렌드 부합성-시스템 구축 시 요구되는 영역별 기술들의 시장 성숙도 및 발전 방향을 파악하고, 요구사항이 이에 부합하는지 판단
-향후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시스템들은 향후 유지보수가 어려운 상황이 발생
기술적 위험 분석-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적용한 기술의 복잡성, 검증 여부, 의존성 등에 대하여 위험 발생 가능성, 영향도 파악

[요구사항의 기술적 타당성 분석 프로세스]

▼요구사항의 기술적 타당성 분석 프로세스

  1. 타당성 분석 결과 기록
    • 요구사항 목록에 타당성 분석을 위한 속성을 추가하고 타당성 분석 결과를 기록
    • 타당성 분석을 위한 속성에는 성능/용량, 시스템 간 상호 운용성, 시장 성숙도 및 트렌드 부합성, 기술 복잡성, 기술 검증 여부, 기술 의존성이 있음
  2. 타당성 분석 결과의 이해관계자 검증
    • 요구사항의 시스템화 타당성 분석 결과를 요구사항 관련 이해관계자에게 배포하여 사전 검토 요청
    • 관련 이해관계자가 모여 시스템화 타당성 분석 결과 검증
    • 타당성 분석 결과에 이견이 있는 경우 프로젝트 관리자의 중재 하에 합의 도출
  3. 타당성 분석 결과 확인 및 배포/공유
    • 이해관계자 검증을 거친 타당성 분석 결과를 의사 결정자가 확인
    • 확정된 타당성 분석 결과를 이해관계자에게 배포하여 공유
profile
나 혼자 공부 기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