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명령어 정리

양현민·2025년 7월 26일
0
post-thumbnail

이번 글에서는 Git 명령어에 대해 협업용과 개인용으로 보고 따라할 수 있도록 정리할 것 이다 !!

📌 협업용 Git 플로우

✅ 1. 프로젝트 시작 - 팀장이 먼저 할 일

1-1. GitHub 저장소 생성

  • GitHub에서 새 저장소 만들기
  • Setiings -> Collaborators에서 팀원 초대

1-2. 로컬에서 초기 코드 업로드

# Git 초기화
git init

# GitHub 원격 저장소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내계정/저장소명.git

# 커밋 및 푸시
git add .
git commit -m "init: 프로젝트 초기 설정"
git branch -M main
git push -u origin main

✅ 2. 팀원이 해야 할 일

2-1. 저장소 클론

git clone https//github.com/팀계정/저장소명.git
cd 저장소명

2-2. 사용자 정보 설정 (Github 계정에 등록된 정보)

git config user.name "내이름"
git config user.email "내이메일@example.com"

2-3. 최신 main 코드 받아오기

git checkoutmain
git pull origin main

✅ 3. 기능 작업 시작

3-1. 브랜치 생성과 동시에 이동

git checkout -b feat/#이슈번호
git branch

3-2. 코드 작성 -> 커밋

git add .
git commit -m "feat: 로그인 API 구현"

커밋 메세지 컨벤션 :

  • "feat: 기능 추가"
  • "fix: 버그 수정"
  • "refactor: 리팩토링"
  • "docs: 문서 작성"
  • "style: 포맷 변경"

3-3. GitHub에 푸시

git push origin feat/#이슈번호

✅ 4. PR 보내기 (GitHub에서)

  • GitHub에서 Pull Request 생성
  • 리뷰 요청 -> 머지 승인 대기

✅ 5. 머지 이후에 해야 할 일 (모든 팀원 공통)

git checkout main
git pull origin main

항상 작업 전 main을 최신화 해주기!
충돌 방지 + 최신 코드 기준 작업을 위해 중요


📌 개인용 Git 플로우

강의 코드 정리, 알고리즘 문제 풀이 등
혼자 작업할 때 자주 쓰는 Git 명령어 정리!

✅ 1. GitHub 저장소 만들고 연결

git init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내계정/저장소명.git

✅ 2. 작업 -> 커밋 -> 푸시

git add .
git commit -m "feat: 제목"
git push origin main

✅ 3. 커밋 되돌리기 (바로 직전 커밋)

git reset --soft HEAD~1   # 커밋만 취소
git reset --hard HEAD~1   # 커밋+작업물 삭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