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릭 타입은 어떨 때 사용할까?
프로세스란 간단히 말해서 ‘실행중인 프로그램’이다.프로그램을 실행하면 OS로부터 실행에 필요한 자원(메모리)를 할당받아 프로세스가 된다.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와 메모리 등의 자원 그리고 쓰레드로 구성되어있다.모든 프로세스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 Optional에 올 값이 null인 경우 orElse 안에 있는 내용을 실행 시킨다.→ orElse를 사용할 때는 Optional의 대상이 되는 값과 orElse 내의 매개변수 리턴 값은 같아야 한다.만약 같지 않다면 orElse가 아닌 if문을 이용해서 처리해야
JAVA에서 Jar 확장자와 War 확장자는 무엇이고, 뭐가 다를까?
왜 내부 클래스를 static으로 선언해주어야 할까?
Maven Repository란 무엇이고, 어떤 기능을 할까?
마음이 편아아아안 해지는 불변 객체
JAVA에서 Cookie 활용하기
JAVA에서 ExecutorService를 이용해서 멀티 쓰레드를 구현하자.
System.out.println()이 아닌 LOG를 사용해서 로그를 남겨야 하는 성능 상의 이유들
“람다” 너무나 많이 들어보았던 기능이다.그러나 누군가 나에게 “람다”가 뭐야? “람다”를 사용하는 목적이 뭔데?라고 묻는다면 제대로 답변을 할 수 없을 것이다. 람다에서 대해서 함께 알아봅시다.
이전 글에서는 람다에 대해서 알아보았었다. 이번 글에서는 내가 평상시 stream을 사용할 때 별 생각 없이 사용했었던 문법인 메서드 참조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LOG의 단계에 대해서
현재 JSP를 사용하는 프로젝트가 있어서 JSP를 통해 개발을 하고 있는데, JSP의 개념에 대해 부족한 감이 있어 이번 기회에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Maven 의존성 범위란?
JAVA의 Pair 자료구조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