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um Type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JPA @JoinColumn and mappedBy에 대해서 알아보자.

회사 코드를 온보딩 기간 중 살펴보던 중 CrudRepositry를 구현한 Repository가 있어 왜 JpaRepsotiory 대신 사용하셨을까라는 궁금증으로 해당 차이점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이번 카카오 테크 캠퍼스에서 @Table(value="")와 @Column(value="")에서 선언했던 value들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구글링을 통해서 이름 매핑 전략을 사용하라는 조언들을 찾을 수 있었는데, 이름 매핑 전략은 무엇일까?지금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JPQL에서 모든 것이 시작된다.

JPA의 N+1 문제에 대해서 알아보자.

JPA의 OSIV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JPA의 Dirty Checking이란?

JPA 이름 매핑 전략이란?

JPA의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는 무엇을 말하는 걸까?

DB에서의 Sequence와 JPA에서 Sequence 전략과 Identity 전략에 대해서 알아보자.

JPA의 flush와 commit이란 무슨 차이를 가지고 있을까?

REQUIRES_NEW 옵션은 정말 각 트랜잭션을 독립적으로 만들어줄까?

@Modifying와 더티 체킹의 연관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