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코드는 원본의 코드를 각색한 코드이다.나는 현재 Excel의 행들을 DB 스키마에 맞춰서 매핑시켜 넣어주는 기능을 구현 중에 있다.이 때 나는 엑셀에 있는 날짜 데이터들을 DB Date 타입에 맞춰서 넣어주려고 하는데, 이 때 중간에서 타입을 변환 시켜주기 위해서
회사 코드를 살펴보던 중 SpringBootApplication 위에 @Eureka 라는 어노테이션을 발견하게 되었다.처음 보는 어노테이션이자 용어였기에, 공부를 진행해보고자 한다.
MapStruct란 무엇일까?
MapStruct를 이용한 컬렉션 매핑간 발생한 오류 트러블슈팅
Spring에서 Web Socket을 이용한 채팅을 구현해보자.
Spring에서 Stomp 프로토콜을 이용해 채팅을 구현해보자.
Spring에서 Stomp 프로토콜을 이용해 채팅방 입장시 환영 메시지를 보내는 기능 구현하기.
Spring이 구현체를 빈으로 등록하는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자.
Spring에서 헥사고날 아키텍쳐 적용하기.
Spring MVC에서 Model과 ModelMap은 무엇이 다를까?
왜 @Autowired를 두고 @Resource를 사용하는걸까?
JSP와 Servlet에 대해서 알아보자.
Spring에서 Bean들을 어떻게 등록하는지 알아보자.
Spring이 Tomcat으로부터 어떻게 HTTP Request를 전달받을까?
Spring에서 어떻게 브라우져가 보낸 HTTP Request를 Controller 메서드의 인자 객체 타입에 맞춰서 데이터를 주입해줄까
Spring boot에서 어떻게 Tomcat이 실행되는걸까?
Spring Quartz 사용하기
왜 Service가 Service Interface를 구현하는 방식일까??
@ModelAttribute, @RequestParam의 차이는 무엇일까?
나는 대학생 동안 개발 공부를 하면서 쭉 품어오던 궁금증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아래의 궁금증이었다. 왜 Service 계층을 독립적으로 테스트를 해야할까?
각 Service간 비즈니스 로직에 따른 강결합으로 인해서 유지보수간 많은 리소스가 생기는데..??
테스트란 내 코드에 대해 근거 있는 자신감이 생기는 일련의 과정이다.
Spring에서 Bean 객체를 Singleton으로 관리하는 방법
메서드 매개변수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법
액츄에이터와 마이크로미터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