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너무 기본적인 내용(ex: 큰따옴표로 문자열 만들기)은 생략
ex) \": 큰따옴표가 출력된다
>>>print("\"안녕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
"안녕하세요"라고 말했습니다
큰따옴표를 세번 반복한 기호를 사용한다
ex)
>>>print("""string
string
string
""")
ex)
>>>print('안녕하세요'*3)
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
소수점이 없는 숫자: 정수형(integer, int, decimal)
소수점이 있는 숫자: 실수형(floating point, float)
정수 나누기 연산자:// 몫이 실수 일때 소수점 이하의 자리수를 버림
ex)
>>>print(3//2)
1
나머지 연산자:% A를 B로 나누었을 때 남은 나머지
ex)
>>>print(15%4)
3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input() 함수를 사용한다.
input() 함수는 무조건 문자열 형태로 반환한다.
ex)
>>>string = input('인사말을 입력하세요> ')
인사말을 입력하세요> hi
>>>print(string)
hi
문자열이 가지고 있는 함수로, 중괄호를 포함한 문자열 뒤에 마침표를 찍고 format()함수를 사용함
ex)
>>>
format_a = "{}만 원".format(5000)
format_b = "파이썬 열공하여 첫 연봉{}만 원 만들기".format(5000)
print(format_a)
print(format_b)
5000만 원
파이썬 열공하여 첫 연봉 5000만 원 만들기
format()함수를 사용한 정수 출력
ex) int 자료형의 정수를 출력, 매개변수로 정수만 올 수 있음
>>>
output_a = "{:d}".format(52)
output_b = "{:5d}".format(52)
output_c = "{:10d}".format(52)
output_d = "{:05d}".format(52)
output_e = "{:05d}".format(-52)
52
52
52
00052
-0052
format()함수를 사용한 소수 출력
ex)
>>>
output_a="{:.3f}".format(52.273)
output_b="{:.2f}".format(52.273)
print(output_a)
print(output_b)
52.273
52.27
format() 함수를 사용하여 의미 없는 소수점 제거
ex)
>>>
output_a = 52.0
output_b = "{:g}".format(output_a)
print(output_a)
print(output_b)
52.0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