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만든 웹 페이지에 동영상을 삽입해보려고 한다.1) 유튜브에 들어가서 나의 웹 페이지에 넣고 싶은 영상을 하나 골라보자.2) 동영상 하단에 공유를 클릭하면 다양한 경로로 공유할 수 있는 버튼들이 보일텐데, 그 중 퍼가기 버튼을 클릭한다.3) '동영상 퍼가기'를
이전 포스팅에서는 웹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 '웹 호스팅'이라는 대행 업체를 사용해보았다. 이번에는 내 컴퓨터에 직접 '웹 서버'를 설치해서 내가 만든 웹 페이지를 다른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해볼 것이다.유튜브 '생활코딩' - WEB1 - HTML & Internet
(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팀 버너스 리는 두 대의 컴퓨터를 준비한다. 그리고 2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는데, 하나는 '웹 브라우저'라는 프로그램이고 다른 하나는 '웹 서버'라는 프로그램이었다. 2개의 프로그램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다. '웹 서버'가 설치된
🤔 Internet vs Web? 인터넷과 웹은 어떻게 다른 것일까? 비유적으로 살펴보면 인터넷이 도시라면 웹은 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 한 대 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이 운영체제라면 웹은 그 운영체제 위에 있는 프로그램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 (Inter
오늘의 목표 웹사이트를 완성시키고, 각각의 큰 목차들이 해당되는 링크로 연결되도록 만드는 것. index.html 1.html 2.html '의 첫 글자를 딴 태그로, 정보의 바다에 정박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정확하게 무슨 기능을 하는 태그일까? 링크 📌 Reference 유튜브 '생활코딩' - WEB1 - HTML & Internet
: 웹 페이지의 제목을 사용자에게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태그(책으로 치면, 검색 엔진과 같은 기계들은 <title>을 '책 표지'와 같은 정보로서 사용한다.)위와 같이 에디터에 한글을 입력하면 실제로 웹페이지에서는 전혀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이 출력된다.컴퓨터는 모든
이미지를 웹 페이지에 포함시킬 때 사용하는 태그여기서 중요한 점은 태그만으로는 원하는 정보를 모두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img> 태그만으로는 사진을 표현할 수 없다. 이 때, 어떤 이미지인지 알려주기로 약속된 속성 이라는 개념이 등장한다.문법 : s
코딩이란? 원인(인간이 작성한 코드)을 가지고 결과(앱, 프로그램, 웹사이트 등등)를 만들어 내는 과정 💡 우리가 하고자 하는 일 웹 페이지를 만드는 것 WEB Public Domain HTML Html의 특징 (매우) 쉽다 웹 페이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