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를 사용하여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알게된 Hook에 대해서 학습한 내용들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수정 사항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ook은 React 16.8에 새로 추가된 기능입니다.
Hook은 class를 작성하지 않고도 state와 다른 React의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Hook은 함수 컴포넌트에서 React state와 생명주기 기능(lifecycle features)을 “연동(hook into)“할 수 있게 해주는 함수입니다.
Hook은 class 안에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대신 class 없이 React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컴포넌트 사이에서 상태 로직을 재사용하기 어렵습니다.
React는 컴포넌트간에 재사용 가능한 로직을 붙이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전부터 React를 사용해왔다면, render props이나 고차 컴포넌트와 같은 패턴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벙법에 익숙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패턴의 사용은 컴포넌트의 재구성을 강요하며, 코드의 추적을 어렵게 만듭니다.
Hook을 사용하면 컴포넌트로부터 상태 관련 로직을 추상화할 수 있고 계층의 변화 없이 상태 관련 로직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복잡한 컴포넌트들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상태 관련 로직들과 사이드 이펙트가 있는 컴포넌트들을 유지보수해야 하는 과정에서 각 생명주기 메서드에는 자주 관련 없는 로직이 섞여들어가고는 합니다.
예시로 componentDidMount 와 componentDidUpdate는 컴포넌트안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 되어야 하지만, 같은 componentDidMount에서 이벤트 리스너를 설정하는 것과 같은 관계없는 로직이 포함되기도 하며, componentWillUnmount에서 cleanup 로직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함께 변경되는 상호 관련 코드는 분리되지만 이와 연관 없는 코드들은 단일 메서드로 결합합니다. 이로 인해 버그가 쉽게 발생하고 무결성을 너무나 쉽게 해칩니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생명주기 메서드를 기반으로 쪼개는 것 보다는, Hook을 통해 서로 비슷한 것을 하는 작은 함수의 묶음으로 컴포넌트를 나누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독 설정 및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과 같은 로직) 또한 이러한 로직의 추적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리듀서를 활용해 컴포넌트의 지역 상태 값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Class는 사람과 기계를 혼동시킵니다.
React 에서의 Class 사용을 위해서는 JavaScript의 this 키워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야만 합니다.
JavaScript의 this키워드는 대부분의 다른 언어에서와는 다르게 작동함으로 사용자에게 큰 혼란을 주었으며, 코드의 재사용성과 구성을 매우 어렵게 만들고는 했습니다.
class의 사용을 위해 이벤트 핸들러가 등록되는 방법을 정확히 파악해야 했으며, 이는 불안정한 문법 제안들의 도움이 없을 시엔, 코드를 매우 장황하게 만들었습니다.
Class 컴포넌트가 최적화를 더 느린 경로로 되돌리는 의도하지 않은 패턴을 장려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Class는 최근 사용되는 도구에서도 많은 문제를 일으킵니다. 예를 들어 Class는 코드의 최소화를 힘들게 만들고, 핫 리로딩을 깨지기 쉽고 신뢰할 수 없게 만듭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ook은 Class없이 React 기능들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개념적으로 React 컴포넌트는 항상 함수에 더 가깝습니다. Hook은 React의 정신을 희생하지 않고 함수의 사용을 권장합니다.
Hook은 그냥 JavaScript 함수이지만, 두 가지 규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최상위(at the top level)에서만 Hook을 호출해야 합니다. 반복문, 조건문, 중첩된 함수 내에서 Hook을 실행하지 마세요.
React 함수 컴포넌트 내에서만 Hook을 호출해야 합니다. 일반 JavaScript 함수에서는 Hook을 호출해서는 안 됩니다. (Hook을 호출할 수 있는 곳이 딱 한 군데 더 있습니다. 바로 직접 작성한 custom Hook 내입니다.)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중첩된 콜백 함수 내부에서 Hook을 실행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React Hook "useRef" cannot be called inside a callback. React Hooks must be called in a React function component or a custom React Hook
이를 알아보기 위해, https://ko.reactjs.org/docs/hooks-rules.html 에서 찾아보니 다음과 같이 설명 되어 있었습니다.
한 컴포넌트에서 State나 Effect Hook을 여러 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function Form() {
// 1. name이라는 state 변수를 사용하세요.
const [name, setName] = useState('Mary');
// 2. Effect를 사용해 폼 데이터를 저장하세요.
useEffect(function persistForm() {
localStorage.setItem('formData', name);
});
// 3. surname이라는 state 변수를 사용하세요.
const [surname, setSurname] = useState('Poppins');
// 4. Effect를 사용해서 제목을 업데이트합니다.
useEffect(function updateTitle() {
document.title = name + ' ' + surname;
});
// ...
}
// ------------
// 첫 번째 렌더링
// ------------
useState('Mary') // 1. 'Mary'라는 name state 변수를 선언합니다.
useEffect(persistForm) // 2. 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ffect를 추가합니다.
useState('Poppins') // 3. 'Poppins'라는 surname state 변수를 선언합니다.
useEffect(updateTitle) // 4. 제목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effect를 추가합니다.
// -------------
// 두 번째 렌더링
// -------------
useState('Mary') // 1. name state 변수를 읽습니다.(인자는 무시됩니다)
useEffect(persistForm) // 2. 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ffect가 대체됩니다.
useState('Poppins') // 3. surname state 변수를 읽습니다.(인자는 무시됩니다)
useEffect(updateTitle) // 4. 제목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effect가 대체됩니다.
// ...
// 🔴 조건문에 Hook을 사용함으로써 첫 번째 규칙을 깼습니다
if (name !== '') {
useEffect(function persistForm() {
localStorage.setItem('formData', name);
});
}
useState('Mary') // 1. name state 변수를 읽습니다. (인자는 무시됩니다)
// useEffect(persistForm) // 🔴 Hook을 건너뛰었습니다!
useState('Poppins') // 🔴 2 (3이었던). surname state 변수를 읽는 데 실패했습니다.
useEffect(updateTitle) // 🔴 3 (4였던). 제목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effect가 대체되는 데 실패했습니다.
React는 두 번째 useState Hook 호출에 대해 무엇을 반환할지 몰랐습니다. React는 이전 렌더링 때처럼 컴포넌트 내에서 두 번째 Hook 호출이 persistForm effect와 일치할 것이라 예상했지만 그렇지 않았습니다. 그 시점부터 건너뛴 Hook 다음에 호출되는 Hook이 순서가 하나씩 밀리면서 버그를 발생시키게 됩니다.
이것이 컴포넌트 최상위(the top of level)에서 Hook이 호출되어야만 하는 이유입니다. 만약에 조건부로 effect를 실행하기를 원한다면, 조건문을 Hook 내부에 넣을 수 있습니다.
useEffect(function persistForm() {
// 👍 더 이상 첫 번째 규칙을 어기지 않습니다
if (name !== '') {
localStorage.setItem('formData', name);
}
});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initialState);
상태 유지 값과 그 값을 갱신하는 함수를 반환합니다.
최초로 렌더링을 하는 동안, 반환된 state(state)는 첫 번째 전달된 인자(initialState)의 값과 같습니다.
setState 함수는 state를 갱신할 때 사용합니다. 새 state 값을 받아 컴포넌트 리렌더링을 큐에 등록합니다.
function Counter({initialCount})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initialCount);
return (
<>
Count: {count}
<button onClick={() => setCount(initialCount)}>Reset</button>
<button onClick={() => setCount(prevCount => prevCount - 1)}>-</button>
<button onClick={() => setCount(prevCount => prevCount + 1)}>+</button>
</>
);
}
”+“와 ”-” 버튼은 함수 형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갱신된 값이 갱신되기 이전의 값을 바탕으로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Reset” 버튼은 카운트를 항상 0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형식을 사용합니다.
업데이트 함수가 현재 상태와 정확히 동일한 값을 반환한다면 바로 뒤에 일어날 리렌더링은 완전히 건너뛰게 됩니다.
❗️❗️주의❗️❗️
클래스 컴포넌트의 setState 메서드와는 다르게, useState는 갱신 객체(update objects)를 자동으로 합치지는 않습니다. 함수 업데이터 폼을 객체 전개 연산자와 결합함으로써 이 동작을 복제할 수 있습니다.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
setState(prevState => {
// Object.assign would also work
return {...prevState, ...updatedValues};
});
다른 방법으로는 useReducer가 있는데 이는 여러개의 하윗값들을 포함한 state 객체를 관리하는 데에 더 적합합니다.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 => {
const initialState = someExpensiveComputation(props);
return initialState;
});
State Hook을 현재의 state와 동일한 값으로 갱신하는 경우 React는 자식을 렌더링 한다거나 무엇을 실행하는 것을 회피하고 그 처리를 종료합니다. (React는 Object.is 비교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실행을 회피하기 전에 React에서 특정 컴포넌트를 다시 렌더링하는 것이 여전히 필요할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하세요. React가 불필요하게 트리에 그 이상으로 「더 깊게」는 관여하지 않을 것이므로 크게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만, 만약 렌더링 시에 고비용의 계산을 하고 있다면 useMemo를 사용하여 그것들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useEffect(didUpdate);
명령형 또는 어떤 effect를 발생하는 함수를 인자로 받습니다.
변형, 구독, 타이머, 로깅 또는 다른 부작용(side effects)은 (React의 렌더링 단계에 따르면) 함수 컴포넌트의 본문 안에서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만약 이를 수행한다면 그것은 매우 혼란스러운 버그 및 UI의 불일치를 야기하게 될 것입니다.
대신에 useEffect를 사용하세요. useEffect에 전달된 함수는 화면에 렌더링이 완료된 후에 수행되게 될 것입니다. React의 순수한 함수적인 세계에서 명령적인 세계로의 탈출구로 생각하세요.
기본적으로 동작은 모든 렌더링이 완료된 후에 수행됩니다만, 어떤 값이 변경되었을 때만 실행되게 할 수도 있습니다.
useEffect(() => {
const subscription = props.source.subscribe();
return () => {
// Clean up the subscription
subscription.unsubscribe();
};
});
componentDidMount와 componentDidUpdate와는 다르게, useEffect로 전달된 함수는 지연 이벤트 동안에 레이아웃 배치와 그리기를 완료한 후 발생합니다. 이것은 구독이나 이벤트 핸들러를 설정하는 것과 같은 다수의 공통적인 부작용에 적합합니다. 왜냐면 대부분의 작업이 브라우저에서 화면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차단해서는 안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모든 effect가 지연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DOM 변경은 사용자가 노출된 내용의 불일치를 경험하지 않도록 다음 화면을 다 그리기 이전에 동기화 되어야 합니다. (그 구분이란 개념적으로는 수동적 이벤트 리스너와 능동적 이벤트 리스너의 차이와 유사합니다) 이런 종류의 effect를 위해 React는 useLayoutEffect라는 추가적인 Hook을 제공합니다. 그것은 useEffect와 동일한 시그니처를 가지고 있고 그것이 수행될 때에만 차이가 납니다.
useEffect는 브라우저 화면이 다 그려질 때까지 지연됩니다만, 다음 어떤 새로운 렌더링이 발생하기 이전에 발생하는 것도 보장합니다. React는 새로운 갱신을 시작하기 전에 이전 렌더링을 항상 완료하게 됩니다.
effect의 기본 동작은 모든 렌더링을 완료한 후 effect를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만약 의존성 중 하나가 변경된다면 effect는 항상 재생성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이전 섹션의 구독 예제와 같이 일부 경우에는 과도한 작업일 수 있습니다. source props가 변경될 때에만 필요한 것이라면 매번 갱신할 때마다 새로운 구독을 생성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것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useEffect에 두 번째 인자를 전달하세요. 이 인자는 effect가 종속되어 있는 값의 배열입니다. 이를 적용한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useEffect(
() => {
const subscription = props.source.subscribe();
return () => {
subscription.unsubscribe();
};
},
[props.source],
);
❗️❗️주의❗️❗️
이 최적화를 사용하는 경우, 값의 배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되고 effect에 사용되는 컴포넌트 범위의 모든 값들(예를 들어, props와 state와 같은 값들)을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세요. 그렇지 않다면 여러분의 코드는 이전 렌더링에서 설정된 오래된 값을 참조하게 될 것입니다. how to deal with functions와 array values change too often 할 때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세요.
만약 effect를 수행하고 (mount를 하거나 unmount 할 때) 그것을 한 번만 실행하고 싶다면 두 번째 인자로 빈 배열([])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effect는 React에게 props나 state에서 가져온 어떤 값에도 의존하지 않으므로, 다시 실행할 필요가 전혀 없다는 것을 알려주게 됩니다. 이것을 특별한 경우로 간주하지는 않고, 의존성 값의 배열이 항상 어떻게 동작하는지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뿐입니다.
만약 빈 배열([])을 전달한다면 effect 안에 있는 props와 state는 항상 초깃값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두 번째 인자로써 []을 전달하는 것이 친숙한 componentDidMount와 componentWillUnmount에 의한 개념과 비슷하게 느껴지겠지만, effect가 너무 자주 리렌더링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보통 더 나은 해결책이 있습니다. 또한 브라우저가 모두 그려질 때까지 React는 useEffect의 수행을 지연하기 때문에 다른 작업의 수행이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eslint-plugin-react-hooks 패키지의 exhaustive-deps 규칙을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그것은 의존성이 바르지 않게 정의되었다면 그에 대해 경고하고 수정하도록 알려줍니다.
const value = useContext(MyContext);
context 객체(React.createContext에서 반환된 값)을 받아 그 context의 현재 값을 반환합니다. context의 현재 값은 트리 안에서 이 Hook을 호출하는 컴포넌트에 가장 가까이에 있는 <MyContext.Provider>의 value prop에 의해 결정됩니다.
컴포넌트에서 가장 가까운 <MyContext.Provider>가 갱신되면 이 Hook은 그 MyContext provider에게 전달된 가장 최신의 context value를 사용하여 렌더러를 트리거 합니다. 상위 컴포넌트에서 React.memo 또는 shouldComponentUpdate를 사용하더라도 useContext를 사용하고 있는 컴포넌트 자체에서부터 다시 렌더링됩니다.
useContext로 전달한 인자는 context 객체 그 자체이어야 함을 잊지 마세요.
맞는 사용: useContext(MyContext)
틀린 사용: useContext(MyContext.Consumer)
틀린 사용: useContext(MyContext.Provider)
useContext를 호출한 컴포넌트는 context 값이 변경되면 항상 리렌더링 될 것입니다. 만약 컴포넌트를 리렌더링 하는 것에 비용이 많이 든다면, 메모이제이션을 사용하여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Tip❗️❗️
만약 여러분이 Hook 보다 context API에 친숙하다면 useContext(MyContext)는 클래스에서의 static contextType = MyContext 또는 와 같다고 보면 됩니다.
useContext(MyContext)는 context를 읽고 context의 변경을 구독하는 것만 가능합니다. context의 값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트리의 윗 계층에서의 가 필요합니다.
useContext를 Context.Provider와 같이 사용해주세요
const themes = {
light: {
foreground: "#000000",
background: "#eeeeee"
},
dark: {
foreground: "#ffffff",
background: "#222222"
}
};
const ThemeContext = React.createContext(themes.light);
function App() {
return (
<ThemeContext.Provider value={themes.dark}>
<Toolbar />
</ThemeContext.Provider>
);
}
function Toolbar(props) {
return (
<div>
<ThemedButton />
</div>
);
}
function ThemedButton() {
const theme = useContext(ThemeContext);
return (
<button style={{ background: theme.background, color: theme.foreground }}>
I am styled by theme context!
</button>
);
}
다음의 Hook는 이전 섹션에서의 기본 Hook의 변경이거나 특정한 경우에만 필요한 것입니다.
const [state, dispatch] = useReducer(reducer, initialArg, init);
useState의 대체 함수입니다. (state, action) => newState의 형태로 reducer를 받고 dispatch 메서드와 짝의 형태로 현재 state를 반환합니다. (만약 Redux 에 익숙하다면 이것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여러분은 이미 알고 있을 것입니다.)
다수의 하윗값을 포함하는 복잡한 정적 로직을 만드는 경우나 다음 state가 이전 state에 의존적인 경우에 보통 useState보다 useReducer를 선호합니다. 또한 useReducer는 자세한 업데이트를 트리거 하는 컴포넌트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게 하는데, 이것은 콜백 대신 dispatch를 전달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useState 내용에 있던 카운터 예제인데 reducer를 사용해서 다시 작성한 것입니다.
const initialState = {count: 0};
function reducer(state, action) {
switch (action.type) {
case 'increment':
return {count: state.count + 1};
case 'decrement':
return {count: state.count - 1};
default:
throw new Error();
}
}
function Counter() {
const [state, dispatch] = useReducer(reducer, initialState);
return (
<>
Count: {state.count}
<button onClick={() => dispatch({type: 'decrement'})}>-</button>
<button onClick={() => dispatch({type: 'increment'})}>+</button>
</>
);
}
❗️❗️주의❗️❗️
React는 dispatch 함수의 동일성이 안정적이고 리렌더링 시에도 변경되지 않으리라는 것을 보장합니다. 이것이 useEffect나 useCallback 의존성 목록에 이 함수를 포함하지 않아도 괜찮은 이유입니다.
const [state, dispatch] = useReducer(
reducer,
{count: initialCount}
);
❗️❗️주의❗️❗️
React에서는 Reducer의 인자로써 state = initialState와 같은 초기값을 나타내는, Redux에서는 보편화된 관습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때때로 초기값은 props에 의존할 필요가 있어 Hook 호출에서 지정되기도 합니다. 만약 초기값을 나타내는 것이 정말 필요하다면 useReducer(reducer, undefined, reducer)를 호출하는 방법으로 Redux를 모방할 수는 있겠지만, 이 방법을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초기 state를 조금 지연해서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init 함수를 세 번째 인자로 전달합니다. 초기 state는 init(initialArg)에 설정될 것입니다.
이것은 reducer 외부에서 초기 state를 계산하는 로직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어떤 행동에 대한 대응으로 나중에 state를 재설정하는 데에도 유용합니다.
function init(initialCount) {
return {count: initialCount};
}
function reducer(state, action) {
switch (action.type) {
case 'increment':
return {count: state.count + 1};
case 'decrement':
return {count: state.count - 1};
case 'reset':
return init(action.payload);
default:
throw new Error();
}
}
function Counter({initialCount}) {
const [state, dispatch] = useReducer(reducer, initialCount, init);
return (
<>
Count: {state.count}
<button
onClick={() => dispatch({type: 'reset', payload: initialCount})}>
Reset
</button>
<button onClick={() => dispatch({type: 'decrement'})}>-</button>
<button onClick={() => dispatch({type: 'increment'})}>+</button>
</>
);
}
Reducer Hook에서 현재 state와 같은 값을 반환하는 경우 React는 자식을 리렌더링하거나 effect를 발생하지 않고 이것들을 회피할 것입니다. (React는 Object.is 비교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실행을 회피하기 전에 React에서 특정 컴포넌트를 다시 렌더링하는 것이 여전히 필요할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하세요. React가 불필요하게 트리에 그 이상으로 「더 깊게」 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므로 크게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만약 렌더링 시에 고비용의 계산을 하고 있다면 useMemo를 사용하여 그것들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const memoizedCallback = useCallback(
() => {
doSomething(a, b);
},
[a, b],
);
메모이제이션된 콜백을 반환합니다.
인라인 콜백과 그것의 의존성 값의 배열을 전달하세요. useCallback은 콜백의 메모이제이션된 버전을 반환할 것입니다. 그 메모이제이션된 버전은 콜백의 의존성이 변경되었을 때에만 변경됩니다. 이것은, 불필요한 렌더링을 방지하기 위해 (예로 shouldComponentUpdate를 사용하여) 참조의 동일성에 의존적인 최적화된 자식 컴포넌트에 콜백을 전달할 때 유용합니다.
useCallback(fn, deps)은 useMemo(() => fn, deps)와 같습니다.
❗️❗️주의❗️❗️
의존성 값의 배열이 콜백에 인자로 전달되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개념적으로는, 이 기법은 콜백 함수가 무엇일지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콜백 안에서 참조되는 모든 값은 의존성 값의 배열에 나타나야 합니다. 나중에는 충분히 발전된 컴파일러가 이 배열을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eslint-plugin-react-hooks 패키지의 일부로써 exhaustive-deps 규칙을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그것은 의존성이 바르지 않게 정의되었다면 그에 대해 경고하고 수정하도록 알려줍니다.
const memoizedValue = useMemo(() => computeExpensiveValue(a, b), [a, b]);
메모이제이션된 값을 반환합니다.
“생성(create)” 함수와 그것의 의존성 값의 배열을 전달하세요. useMemo는 의존성이 변경되었을 때에만 메모이제이션된 값만 다시 계산 할 것입니다. 이 최적화는 모든 렌더링 시의 고비용 계산을 방지하게 해 줍니다.
useMemo로 전달된 함수는 렌더링 중에 실행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통상적으로 렌더링 중에는 하지 않는 것을 이 함수 내에서 하지 마세요. 예를 들어, 사이드 이펙트(side effects)는 useEffect에서 하는 일이지 useMemo에서 하는 일이 아닙니다.
배열이 없는 경우 매 렌더링 때마다 새 값을 계산하게 될 것입니다.
useMemo는 성능 최적화를 위해 사용할 수는 있지만 의미상으로 보장이 있다고 생각하지는 마세요. useMemo를 사용하지 않고도 동작할 수 있도록 코드를 작성하고 그것을 추가하여 성능을 최적화하세요.
❗️❗️주의❗️❗️
의존성 값의 배열은 함수에 인자로 전달되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개념적으로는, 이 기법은 함수가 무엇일지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함수 안에서 참조되는 모든 값은 의존성 값의 배열에 나타나야 합니다. 나중에는 충분히 발전된 컴파일러가 이 배열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eslint-plugin-react-hooks 패키지의 일부로써 exhaustive-deps 규칙을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그것은 의존성이 바르지 않게 정의되었다면 그에 대해 경고하고 수정하도록 알려줍니다.
const refContainer = useRef(initialValue);
useRef는 .current 프로퍼티로 전달된 인자(initialValue)로 초기화된 변경 가능한 ref 객체를 반환합니다. 반환된 객체는 컴포넌트의 전 생애주기를 통해 유지될 것입니다.
일반적인 유스케이스는 자식에게 명령적으로 접근하는 경우입니다.
function TextInputWithFocusButton() {
const inputEl = <useRef(null);
const onButtonClick = () => {
// `current` points to the mounted text input element
inputEl.current.focus();
};
return (
<>
<input ref={inputEl} type="text" />
<button onClick={onButtonClick}>Focus the input</button>
</>
);
}
본질적으로 useRef는 .current 프로퍼티에 변경 가능한 값을 담고 있는 “상자”와 같습니다.
만약 <div ref={myRef} />
를 사용하여 React로 ref 객체를 전달한다면, React는 모드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DOM 노드에 그것의 .current 프로퍼티를 설정할 것입니다.
그렇지만, ref 속성보다 useRef()가 더 유용합니다. 이 기능은 클래스에서 인스턴스 필드를 사용하는 방법과 유사한 어떤 가변값을 유지하는 데에 편리합니다.
이것은 useRef()가 순수 자바스크립트 객체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useRef()와 {current: ...} 객체 자체를 생성하는 것의 유일한 차이점이라면 useRef는 매번 렌더링을 할 때 동일한 ref 객체를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useRef는 내용이 변경될 때 그것을 알려주지는 않는다는 것을 유념하세요. .current 프로퍼티를 변형하는 것이 리렌더링을 발생시키지는 않습니다. 만약 React가 DOM 노드에 ref를 attach하거나 detach할 때 어떤 코드를 실행하고 싶다면 대신 콜백 ref를 사용하세요.
useImperativeHandle(ref, createHandle, [deps])
forwardRef
와 더불어 사용하세요.function FancyInput(props, ref) {
const inputRef = useRef();
useImperativeHandle(ref, () => ({
focus: () => {
inputRef.current.focus();
}
}));
return <input ref={inputRef} ... />;
}
FancyInput = forwardRef(FancyInput);
<FancyInput ref={inputRef} />
를 렌더링한 부모 컴포넌트는 inputRef.current.focus()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이 함수의 시그니처는 useEffect와 동일하긴 한데, 모든 DOM 변경 후에 동기적으로 발생합니다. 이것은 DOM에서 레이아웃을 읽고 동기적으로 리렌더링하는 경우에 사용하세요. useLayoutEffect의 내부에 예정된 갱신은 브라우저가 화면을 그리기 이전 시점에 동기적으로 수행될 것입니다.
화면 갱신 차단의 방지가 가능할 때 표준 useEffect를 먼저 사용하세요.
❗️❗️팁❗️❗️
클래스 컴포넌트에서 코드를 변환하는 경우에 useLayoutEffect는 componentDidMount나 componentDidUpdate와 동일한 단계를 실행하게 된다는 것에 주의하기 바랍니다. 그렇기는 하지만, 먼저 useEffect를 사용해 보고 문제가 있다면 그다음으로 useLayoutEffect를 사용해 보기를 권합니다.
서버 렌더링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자바스크립트가 모두 다운로드될 때까지는 useLayoutEffect와 useEffect 어느 것도 실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것이 서버에서 렌더링 되는 컴포넌트에서 useLayoutEffect가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React가 경고하는 이유입니다. 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최초 렌더링 시에 필요하지 않다면) 로직을 useEffect로 이동한다거나 (useLayoutEffect가 수행될 때까지 HTML이 깨져 보이는 경우는) 클라이언트 렌더링이 완료될 때까지 컴포넌트 노출을 지연하도록 하세요.
서버에서 렌더링된 HTML에서 레이아웃 effect가 필요한 컴포넌트를 배제하고 싶다면, showChild && 를 사용하여 조건적으로 렌더링 하고 useEffect(() => { setShowChild(true); }, [])를 사용하여 노출을 지연시키세요. 이런 방법으로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주입되기 전에 깨져 보일 수 있는 UI는 표현되지 않게 됩니다.
useDebugValue(value)
개발을 하다 보면 가끔 상태 관련 로직을 컴포넌트 간에 재사용하고 싶은 경우가 생깁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이 두 가지 있었는데, higher-order components와 render props가 바로 그것입니다. Custom Hook은 이들 둘과는 달리 컴포넌트 트리에 새 컴포넌트를 추가하지 않고도 이것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친구의 접속 상태를 구독하기 위해서 useState와 useEffect Hook을 사용한 FriendStatus 컴포넌트 예시를 다시 한번 보겠습니다. 이 로직을 다른 컴포넌트에서도 재사용하고 싶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먼저, 이 로직을 useFriendStatus라는 custom Hook으로 뽑아냅니다.
import Reac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function useFriendStatus(friendID) {
const [isOnline, setIsOnline] = useState(null);
function handleStatusChange(status) {
setIsOnline(status.isOnline);
}
useEffect(() => {
ChatAPI.subscribeToFriendStatus(friendID, handleStatusChange);
return () => {
ChatAPI.unsubscribeFromFriendStatus(friendID, handleStatusChange);
};
});
return isOnline;
}
이 Hook은 friendID를 인자로 받아서 친구의 접속 상태를 반환해줍니다.
이제 우리는 이것을 여러 컴포넌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FriendStatus(props) {
const isOnline = useFriendStatus(props.friend.id);
if (isOnline === null) {
return 'Loading...';
}
return isOnline ? 'Online' : 'Offline';
}
function FriendListItem(props) {
const isOnline = useFriendStatus(props.friend.id);
return (
<li style={{ color: isOnline ? 'green' : 'black' }}>
{props.friend.name}
</li>
);
}
각 컴포넌트의 state는 완전히 독립적입니다. Hook은 state 그 자체가 아니라, 상태 관련 로직을 재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실제로 각각의 Hook 호출은 완전히 독립된 state를 가집니다. 그래서 심지어는 한 컴포넌트 안에서 같은 custom Hook을 두 번 쓸 수도 있습니다.
Custom Hook은 기능이라기보다는 컨벤션(convention)에 가깝습니다. 이름이 ”use“로 시작하고, 안에서 다른 Hook을 호출한다면 그 함수를 custom Hook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useSomething이라는 네이밍 컨벤션은 linter 플러그인이 Hook을 인식하고 버그를 찾을 수 있게 해줍니다.
폼 핸들링, 애니메이션, 선언적 구독(declarative subscriptions), 타이머 등 많은 경우에 custom Hook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act Hook은 class 없이 React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하지만, 기존 React state와 생명주기 기능(lifecycle features)를 똑같이 대체한다고 사용할 경우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Hook에는 독자적인 학습 곡선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Hook은 state, 생명주기, context 및 ref와 같은 이미 알고 있는 React 기능을 사용하는 보다 직접적인 방법입니다. React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근본적으로 바꿀 수 없으며 컴포넌트, props 및 하향식 데이터 흐름에 대한 지식도 마찬가지로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