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통신] 논리적 통신 vs 물리적 통신

yeahcold·2024년 9월 12일
1

계층적 프로토콜에서 통신이란, 서로 다른 장치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1. 논리적 통신 (Logical Communication)
    논리적 통신이란,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에서 특정 계층의 장치들이 서로 동일한 계층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처럼 보이는 방식입니다.

실제로는 각 계층은 인접한 상위 또는 하위 계층과만 상호작용하지만, 논리적으로는 같은 계층 간에 직접 통신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예를 들어, OSI 모델에서 4계층인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에서는 송신 측의 전송 계층과 수신 측의 전송 계층이 논리적으로 직접 통신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즉, 송신 측의 전송 계층은 수신 측의 전송 계층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고 가정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데이터가 하위 계층으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수신 측에 도착한 후 다시 전송 계층으로 올라가는 과정입니다.

  • 계층 간의 논리적 통신의 예:

    송신 측의 4계층(전송 계층)이 데이터 패킷을 수신 측의 4계층(전송 계층)에 직접 전달하는 것처럼 작동하지만, 실제로는 하위 계층을 거쳐 데이터가 전송됩니다.
    TCP/IP 프로토콜에서 송신 측의 TCP 계층이 수신 측의 TCP 계층과 논리적으로 통신하는 구조를 떠올리면 됩니다.

  1. 물리적 통신 (Physical Communication)
    물리적 통신은 네트워크를 통해 실제로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주로 하위 계층(물리 계층)이 담당합니다.

실제 장치 간의 케이블, 무선 신호, 광섬유 등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입니다. 즉, 물리적 통신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통해 신호가 물리적인 매체(예: 구리선, 광케이블, 무선 주파수)를 따라 이동하는 방식입니다.

물리적 통신에서는 실제 전기 신호나 광 신호 등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때문에 장치 간의 실제적인 데이터 흐름이 이루어집니다.

  • 물리적 통신의 예:

    OSI 모델의 1계층(물리 계층)에서 네트워크 케이블, 라우터, 스위치 등을 통해 데이터가 실제로 전달됩니다.
    전기 신호나 무선 신호가 케이블이나 공기를 통해 이동하면서 통신을 이루는 과정을 말합니다.

계층적 프로토콜의 통신 과정

송신 측:

데이터는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전달되며, 각 계층은 고유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상위 계층에서 내려온 데이터는 각 계층의 헤더 정보가 추가되며 하위 계층으로 전달됩니다. -> Encapsulation
최종적으로 1계층(물리 계층)에서 물리적 신호로 변환되어 네트워크 매체를 통해 전송됩니다.

수신 측:

물리적 신호는 수신 측의 1계층(물리 계층)에서 수신되며, 상위 계층으로 차례대로 올라가면서 각 계층에서 헤더 정보를 제거하며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 Decapsulation
최종적으로 7계층(응용 계층)에서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됩니다.

요약
논리적 통신: 동일한 계층 간에 통신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데이터를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여 최종적으로 수신 장치로 보내는 방식.
물리적 통신: 실제 신호가 물리적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과정으로, 주로 OSI 모델의 물리 계층에서 처리됨.

profile
Software Engine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