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lin, 타입 추론과 함수

Yebali·2021년 8월 10일
0

약간의_Kotlin

목록 보기
2/19

타입추론

타입 추론이란 자료형을 코드에 명시하지 않아도 연산할 때 자동으로 자료형을 추론해주는 기능.

변수를 초기화 할 때, 할당되는 값을 보고 자동으로 값을 추론하여준다.

fun main() {
    var a: Int = 3
    var b = 3 // 타입추론으로 Int임을 알 수 있음.
    var intArr1: Array<Int> = arrayOf(1,2,3)
    var intArr2 = arrayOfNulls<Int>(3) // Generic도 가능!
}

대부분은 타입추론기능을 사용하여 코드양을 줄일 수 있다!

함수

함수는 아래와 같이 선언하고 사용 할 수 있다.
함수의 파라미터는 'a: Int'의 형태로 표현하고, 반환 타입은 파라미터 다음 부분에 ': Int'와 같이 나타낸다.

fun add(a: Int, b:Int): Int {
	return a + b;
}

fun main() {
    var a = 1;
    var b = 2;
    
	println(add(a, b))
}

단일 표현식 함수

Kotlin에서 함수를 변수에 값을 할당하듯 만들 수 있다.
단일 표현식 함수에서는 반환형의 타입이 추론이 가능하여 생략이 가능하다.

fun add(a: Int, b:Int) = a + b //단일 표현식 함수

fun main() {
    var a = 1;
    var b = 2;
    
	println(add(a, b))
}
profile
머리에 다 안들어가서 글로 적는 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