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을 해야 하는 시점,,
산학 연계나 Ai보단 실제 유저들이 직접 사용해보고 우리가 실시간으로 수정하면서 배포도 해볼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었다.
마침 내 동기가 학과 학생회장이 되었다.
소프트웨어융합대학 내 학과 학생회니깐 학생회가 수작업으로 하던 걸 자동화 하면 좋지 않을까? 나아가서 학생회가 가진 정보를 일반 학생들이 편하게 조회하면 좋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또 감사하게도 학생회장인 동기가 승낙을 해서 졸작으로 학생회 프로그램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다.
학사 대조 프로그램
예를 들어 사물함 신청 시 신청한 학생들의 학번과 이름을 집어 넣으면
학생회비 낸 재학생
학생회비 안낸 재학생
순으로 정렬하고 사물함 배정 ⇒ 시각화
사물함 위치 그림 시각화 해서 본인 학번이랑 이름 넣으면 위치 찾을 수 있도록
대여 사업
카카오톡 챗 봇으로 학생이 학번, 이름, 빌리고 싶은 품목 보내면
학사 상태 대조해서 정보융합학부 학생이 맞으면 해당 사물함 비밀번호 알려주도록
강의실 개방 사업
팀플 장소로 개방한 강의실 ⇒ 예약 제로 운영
예약 현황 시각화 + 예약 가능 프로그램 개발
개발에서 중요한 점은 Client인 학생회가 엑셀을 굳이 사용할 필요 없이 우리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해야 한단 것이다.
→ 즉 엑셀 검색 만큼 버퍼링이나 랜더링 대기 시간이 없어야 하고, sw 계열 학과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가 개발을 해본 학생들인만큼 시각적인 퀄리티 + 보안적인 부분을 신경써야 한다.
Frontend 2명 + Backend 1명 (→나)
다만, 졸업 작품으로 진행하는 인원은 front 1명과 back 1명인 총 2명이기에 2명 위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프로젝트 시작 후 추가로 한달 뒤 프론트에 한 명이 더 합류해 4명이 진행 할 예정이다.
2024.01~2024.11
초기 개발 1 : ~ 2024.02
학사 비교 시스템 및 사물함 배정 등 학생회비 낸 학생들 정보 조회하는 프로그램을 2월 말부터 학생회가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초기 개발 2 : ~ 2024.04
대여 사업과 관련된 기능들을 추가해 5월부터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운영 : 2024.05 ~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요구사항을 반영해 수정하고 추가 개발한다.
멋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