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민 프로젝트 시작 단계에서 가장 처음으로 고민했던 내용이 DB를 어떤 것으로 사용할까?였습니다. 처음에는 매번 프로젝트에서 사용해와서 친숙한 RDBMS 사용을 고려했습니다. 먼저 DB ERD 구조에 대해서 도메인을 생각하며 그려보아야합니다. 해당 프로젝트는 선착순

가장 중요한 포인트를 먼저 잡아보자 선착순 당첨 프로그램에서 동시에 들어오는 다수의 유저들을 어떻게 관리할 수 있을까요? 가장 먼저 구현 포인트를 이렇게 잡았습니다. > 유저가 들어오면 (ex 10000명 신청, 100명 당첨) > 무조건 대기열에 줄세운다. 유저마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0-05-26-static-factory-method/
해당 프로젝트의 로직을 간단히 설명하면 여러개의 이벤트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고 각 이벤트는 선착순 로직을 개별적으로 진행해야한다.Event 객체는 Form을 인자로 받는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활용한 생성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기본 생성자는 private로 캡슐화해주고
클라이언트가 최초 요청을 1번 보낸 이후, 서버에서 1초에 한번씩 데이터를 동기화시키며 클라이언트에게 실시간 대기순번을 알려준다.spring 내부에서 실시간 순번을 로그로 찍어서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발을 완료했다.그럼 다음 단계로 로그로 찍는게 아닌, 다수의 클라이언트
관련 커밋 내역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젝트 현재 로직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대기열은 외부 redis를 활용하여 줄을 세운다. 이후에는 별도의 참가열에 한번 더 줄을 세우진 않고, 어플리케이션 내부에서 for문을 통해 처리하고 있다. 추가 구현하고자 하는 로직 기존의 로직은 (앞으로 이 화면은 대기 페이지로 통칭한다.) 해당 화면에서 입장하는건 모든 사용자들에게 동등하게 열려있다. 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