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3305. 주유소 | JavaScript | BigInt

예구·2023년 10월 14일
0

Algorithm

목록 보기
45/47
post-thumbnail

문제 출처

1. 문제

어떤 나라에 N개의 도시가 있다. 이 도시들은 일직선 도로 위에 있다. 편의상 일직선을 수평 방향으로 두자. 제일 왼쪽의 도시에서 제일 오른쪽의 도시로 자동차를 이용하여 이동하려고 한다. 인접한 두 도시 사이의 도로들은 서로 길이가 다를 수 있다. 도로 길이의 단위는 km를 사용한다.

처음 출발할 때 자동차에는 기름이 없어서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고 출발하여야 한다. 기름통의 크기는 무제한이어서 얼마든지 많은 기름을 넣을 수 있다. 도로를 이용하여 이동할 때 1km마다 1리터의 기름을 사용한다. 각 도시에는 단 하나의 주유소가 있으며, 도시 마다 주유소의 리터당 가격은 다를 수 있다. 가격의 단위는 원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이 나라에 다음 그림처럼 4개의 도시가 있다고 하자. 원 안에 있는 숫자는 그 도시에 있는 주유소의 리터당 가격이다. 도로 위에 있는 숫자는 도로의 길이를 표시한 것이다.

주유소 문제 이미지

제일 왼쪽 도시에서 6리터의 기름을 넣고, 더 이상의 주유 없이 제일 오른쪽 도시까지 이동하면 총 비용은 30원이다. 만약 제일 왼쪽 도시에서 2리터의 기름을 넣고(2×5 = 10원) 다음 번 도시까지 이동한 후 3리터의 기름을 넣고(3×2 = 6원) 다음 도시에서 1리터의 기름을 넣어(1×4 = 4원) 제일 오른쪽 도시로 이동하면, 총 비용은 20원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일 왼쪽 도시에서 2리터의 기름을 넣고(2×5 = 10원) 다음 번 도시까지 이동한 후 4리터의 기름을 넣고(4×2 = 8원) 제일 오른쪽 도시까지 이동하면, 총 비용은 18원이다.

각 도시에 있는 주유소의 기름 가격과, 각 도시를 연결하는 도로의 길이를 입력으로 받아 제일 왼쪽 도시에서 제일 오른쪽 도시로 이동하는 최소의 비용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표준 입력으로 다음 정보가 주어진다. 첫 번째 줄에는 도시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2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인접한 두 도시를 연결하는 도로의 길이가 제일 왼쪽 도로부터 N-1개의 자연수로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주유소의 리터당 가격이 제일 왼쪽 도시부터 순서대로 N개의 자연수로 주어진다. 제일 왼쪽 도시부터 제일 오른쪽 도시까지의 거리는 1이상 1,000,00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리터당 가격은 1 이상 1,000,000,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출력

표준 출력으로 제일 왼쪽 도시에서 제일 오른쪽 도시로 가는 최소 비용을 출력한다.



2. 내 풀이

처음에 BigInt를 사용하지 않았더니 100점이 아닌 58점을 맞았다.
N의 최댓값이 매우 크므로 BigInt를 사용해서 풀어야 한다.
python과 달리 고려해야 할 게 많은 JavaScript...

전체 코드는 아래와 같다.

const fs = require("fs");
le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split("\n");

const N = input[0]; // 도시의 개수
const roadLength = input[1].split(" ").map((e) => BigInt(e)); // 도로의 길이
const price = input[2].split(" ").map((e) => BigInt(e)); // 주유소의 리터당 가격

let minPrice = price[0]; // 최소 리터당 가격
let totalPrice = 0n; // 최소 비용

for (let i = 0; i < N - 1; i++) {
  totalPrice += minPrice * roadLength[i]; // 현재 도시로 오는 최소 비용 구하기
  if (price[i + 1] < minPrice) minPrice = price[i + 1]; // 최소 리터당 가격 갱신
}

console.log(totalPrice);



3. BigInt

  • Number 원시 값이 안정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최대치인 2^53 - 1보다 큰 정수를 표현할 수 있는 내장 객체
  • 정수 리터럴의 뒤에 n을 붙이거나(10n) 함수 BigInt()를 호출해 생성 가능
  • 내장 Math 객체의 메서드와 함께 사용할 수 없고, 연산에서 Number와 혼합해 사용 불가
    • 먼저 같은 자료형으로 변환해야 함
  • typeof 판별 결과: "bigint"
  • +, *, -, **, % 연산자를 BigInt나 객체로 감싼 BigInt에서 사용 가능

BigInt MDN 링크

profile
우당탕탕 FE 성장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