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인사팀 직원으로, 각 직원의 근태를 확인하고자 한다.
당신의 회사는 자율출퇴근제를 실시하기 때문에 각 직원이 정확히 몇 시에 출근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고, 총 근로 시간이 몇 분인지가 중요하다. 총 근로 시간이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면서, 회사와 직원 사이에 계약한 시간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직원이 하루 동안 근무한 시간은 출근 시각과 퇴근 시각 사이의 시간으로 정의한다. 이 문제에서는 식사 시간 등 근무 외 시간을 근무 시간에서 제외하지 않음에 유의하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휴가를 쓰지 않은 직원이 매 요일 언제 출근하고 언제 퇴근했는지가 주어질 때, 이 직원이 5일 동안 총 몇 분을 근무했는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직원은 밤을 새서 일하지 않았다. 즉, 출근 시각과 퇴근 시각은 00:00 이후, 24:00 이전에 이루어졌다.
출퇴근 시각은 HH:MM과 같은 형식으로 주어진다.
HH는 00, 01, 02, .., 22, 23 중 하나이다.
MM는 00, 01, 02, .., 58, 59 중 하나이다.
직원은 매일 1분 이상은 일하였다.
첫 번째 줄에는 월요일에 출근한 시각과 월요일에 퇴근한 시각이 공백 하나를 사이로 두고 주어진다.
두 번째 줄에는 화요일에 출근한 시각과 화요일에 퇴근한 시각이 공백 하나를 사이로 두고 주어진다.
세 번째 줄에는 수요일에 출근한 시각과 수요일에 퇴근한 시각이 공백 하나를 사이로 두고 주어진다.
네 번째 줄에는 목요일에 출근한 시각과 목요일에 퇴근한 시각이 공백 하나를 사이로 두고 주어진다.
다섯 번째 줄에는 금요일에 출근한 시각과 금요일에 퇴근한 시각이 공백 하나를 사이로 두고 주어진다.
첫 번째 줄에 직원의 총 근무 시간을 분 단위로 출력한다.
10:00 19:00
09:00 15:00
10:00 11:00
11:00 22:00
09:00 15:00
1980
월요일에 9시간, 화요일에 6시간, 수요일에 1시간, 목요일에 11시간, 금요일에 6시간을 근무하였다. 총 근무 시간은 9 + 6 + 1 + 11 + 6 = 33시간, 즉 33 × 60 = 1980분이다.
시간과 분이 두 개가 주어지면 차이를 구해서 분으로 바꿔주고, 그 차이의 누적합을 구하면 되는 문제다.
문제를 풀다가 input
값을 처리하다가 안에 rl.close()
를 썼더니 한 줄만 읽고 끝났다.
이렇게 여러 줄로 입력값이 들어올 때는 rl.close()
를 쓰지 말하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const readline = require("readline");
const rl = readline.createInterface({
input: process.stdin,
output: process.stdout,
});
let minutes = 0;
// input
rl.on("line", (input) => {
let time = input.split(" ").map((e) => {
return e.split(":").map((e) => Number(e));
});
minutes += (time[1][0] - time[0][0]) * 60 + time[1][1] - time[0][1];
});
// output
rl.on("close", () => {
console.log(minutes);
process.exi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