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1 = 10; num2 = 5
result = num1 > num2
print('num1 > num2: {}'.format(result))
print(type(result))
result = num1 >= num2
print('num1 >= num2: {}'.format(result))
print(type(result))
result = num1 < num2
print('num1 < num2: {}'.format(result))
print(type(result))
result = num1 <= num2
print('num1 <= num2: {}'.format(result))
print(type(result))
result = num1 == num2
print('num1 == num2: {}'.format(result))
print(type(result))
result = num1 != num2
print('num1 != num2: {}'.format(result))
print(type(result))
위의 결과를 보며 연산 결과는 True 또는 False로 데이터타입이 bool이다.
Q1. 숫자 두 개를 입력한 후 비교 연산 결과를 출력하는 코드 작성하기
[실행 결과]
첫 번째 숫자 입력: 10
두 번째 숫자 입력: 5
10 > 5: True
10 >= 5: True
10 < 5: False
10 <= 5: False
10 == 5: False
10 != 5: True
num1 = int(input('첫 번째 숫자 입력: '))
num2 = int(input('두 번째 숫자 입력: '))
print('{} > {}: {}'.format(num1, num2, (num1 > num2)))
print('{} >= {}: {}'.format(num1, num2, (num1 >= num2)))
print('{} < {}: {}'.format(num1, num2, (num1 < num2)))
print('{} <= {}: {}'.format(num1, num2, (num1 <= num2)))
print('{} == {}: {}'.format(num1, num2, (num1 == num2)))
print('{} != {}: {}'.format(num1, num2, (num1 != num2)))
Q2. 자동차의 전장과 전폭을 입력하면 자동차 기계 세차 가능 여부를 출력하는 코드 작성하기 (최대 전장 길이: 5200mm, 최대 전폭 길이: 1985mm)
[실행결과]
전장 길이 입력: 5201
전폭 길이 입력: 1985
전장 가능 여부: False
전폭 가능 여부: True
maxLength = 5201
maxWidth = 1985
length = int(input('전장 길이 입력: '))
width = int(input('전폭 길이 입력: '))
print('전장 가능 여부: {}'.format(maxLength >= length))
print('전폭 가능 여부: {}'.format(maxWidth >= width))
1) 아스키 코드
를 이용한 비교 연산
아스키 코드
cha1 = 'A' # 65
cha2 = 'S' # 83
print('\'{}\' > \'{}\': {}'.format(cha1, cha2, (cha1 > cha2)))
print('\'{}\' >= \'{}\': {}'.format(cha1, cha2, (cha1 >= cha2)))
print('\'{}\' < \'{}\': {}'.format(cha1, cha2, (cha1 < cha2)))
print('\'{}\' <= \'{}\': {}'.format(cha1, cha2, (cha1 <= cha2)))
print('\'{}\' == \'{}\': {}'.format(cha1, cha2, (cha1 == cha2)))
print('\'{}\' != \'{}\': {}'.format(cha1, cha2, (cha1 != cha2)))
2) 문자와 아스키 코드 변환
ord()
함수는 order의 약자로 주어진 문자의 ASCII 코드 값으로 반환한다.chr()
함수는 character의 약자로 주어진 ASCII 코드 값에 해당하는 문자를 반환한다.print('\'A\' -> {}'.format(ord('A')))
print('\'S\' -> {}'.format(ord('S')))
print('65 -> {}'.format(chr(65)))
print('83 -> {}'.format(chr(83)))
3) 문자열 비교: 문자열 자체 비교
str1 = 'Hello'
str2 = 'hello'
print('{} == {}: {}'.format(str1, str2, (str1 == str2)))
print('{} != {}: {}'.format(str1, str2, (str1 != str2)))
Q1. 알파벳을 입력하면 아스키 코드를 출력하는 코드 작성하기
[실행결과]
알파벳 입력: h
h: 104
userInput1 = input('알파벳 입력: ')
print('{}: {}'.format(userInput1, ord(userInput1)))
[실행결과]
아스키 코드 입력: 104
104: h
userInput2 = int(input('아스키 코드 입력: '))
print('{}: {}'.format(userInput2, chr(userInput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