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 차트
는 카테고리 간의 상대적 비율을 동그란 형태로 시각화하는데 사용된다. 원의 전체적인 크기는 전체 데이터 집합을 나타내며, 각 카테고리는 파이 차트의 부채꼴 형태로 표현된다. 각 부채꼴의 크기는 해당 카테고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1) 새로운 시트 열기
2) 거래액
더블클릭
3) 상품군별(1)
더블클릭
4) 오른쪽 상단의 표현 방식
클릭
5) 파이차트
선택
6) 툴바에서 맞춤을 전체보기
로 선택
7) 툴바에서 내림차순 정렬
선택
이렇게 하면 파이 차크가 거래액을 기준으로 상품군을 나타내게 된다.
1) 상품군별(1)
필드를 마크 레이블에 드래그앤드랍
2) 거래액
필드를 마크 레이블에 드래그앤드랍
3) 마크카드에서 '합계(거래액)'의 ▼ 클릭
4) 퀵 테이블 계산
클릭
5) 구성 비율
선택
각각의 거래액이 몇퍼센트를 차지하는지를 나타내는 파이 차트가 완성됐다.
6) 마크카드에서 레이블
클릭
7) 글꼴
선택하여 글씨 크기 키우기
위와 같이 파이 차트는 차원에 속하는 카테고리들이 많을 때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운영형태별로 나눈 파이 차트는 각 운영형태가 전체 거래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다.
위와 같이 상품군이 많아지면 파이 차트는 각 카테고리를 비교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대신 하이라이트 테이블을 사용하면 여러 상품군 간의 거래액을 직접 비교할 수 있고, 더 간단하고 직관적인 시각화를 제공할 수 있다.
트리맵
은 계층적인 데이터를 사각형 블록으로 시각화하는 방법이다. 주로 계층 구조를 갖는 데이터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 트리맵은 사각형의 크기와 색상을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전체 사각형은 전체 데이터를 나타내고, 내부의 작은 사각형들은 계층적인 카테고리를 나타낸다. 각 사각형의 크기는 해당 데이터 값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며, 색상은 다른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될 수 있다.
1) 새로운 시트 열기
2) 거래액
필드 더블클릭
3) 상품군별(1)
필드 더블클릭
4) 오른쪽 상단의 표현 방식
클릭
5) 트리맵
선택
사각형의 크기로 거래액의 비중을 표현하기 때문에 각 구분값 간의 상대적인 크기를 쉽게 비교할 수 있다.
1) 거래액
필드 레이블에 드래드앤드랍
2) 마크카드에서 '합계(거래액)'의 ▼ 클릭
3) 퀵 테이블 계산
클릭
4) 구성 비율
선택
상품군별의 이름과 거래액이 차지하는 비중이 한눈에 보인다.
5) 거래액
필드 레이블에 드래그앤드랍
트리맵 차트에 레이블을 추가하여 각 사각형이 나타내는 거래액의 비율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상품군별의 거래액 비중을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데이터 시각화에서 중요한 점은 데이터의 성격과 목적에 따라 적합한 시각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파이 차트는 주로 몇 가지 카테고리 간의 상대적인 비율을 보여주는데 유용하며, 구분값이 적을 때 더욱 효과적이다. 하지만 구분값이 많거나 비교해야 할 카테고리가 많을 경우에는 트리맵과 같은 다른 시각화 기법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여러 시각화 기법을 통해 데이터를 다양한 각도에서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