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커머스 데이터를 통한 사업 현황 파악 - 이커머스 비즈니스 지표

dpwl·2024년 5월 11일
0

Data Analysis with SQL

목록 보기
48/120

1. 이커머스 비즈니스 지표

큰 지표부터 작은 지표로 점차 쪼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의 가계부도 똑같다. 예를 들어, 이번달 가계부를 썼는데 돈을 많이 쓴거 같다. 그럼 돈을 많이 썼다는 결과를 가지고 외식, 쇼핑 등으로 접근을 하는게 아닌 큰 단위에서 접근하는게 효과적이다.

지출이 많다면 고정지출은 이상이 없고 변동지출이 많아졌다면 변동지출 중에서도 외식비가 범인이다. 큰 지표부터 작은 지표로 접근해야 효과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비즈니스 지표를 측정할 때도 똑같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큰 지표를 매출로 잡았다면 매출이 목표치만큼 나오지 않았다면 매출을 이루고 있는 작은 지표로 쪼개면 된다. A 지표는 정상이고 B 지표에 이상이 있다면 B 지표를 다시 한번 쪼개어 어떠한 지표가 문제가 있는지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다.

예시:
배달 치킨집 매출 리포트의 큰 그림

  • 지난달 얼마 벌었다.
    • 주문 수는 얼마였다.
    • 평균 주문 단가는 얼마였다.
      • 평균 n마리 팔았다.
      • 1마리당 가격은 얼마였다.

배달 치킨집 매출 리포트의 디테일

  • 오븐치킨의 판매 비중이 증가했다 프라이드보다 많이 나갔다.
  • 가장 많이 팔린 건 오븐불닭이다.
  • 한 주문에 가장 많이 팔렸을 때 100마리였다 (단체 주문).

2. 총 거래액과 매출

온라인 쇼핑을 할 때 크게 두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옷을 직접 쇼핑몰에 방문해서 사는 경우,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적으로 거래가 일어나는 경우이다.

한편, 브랜드나 쇼핑몰이 입점해 있는 플랫폼에서 옷을 사게 되는 경우,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적으로 거래를 하는게 아닌 소비자는 플랫폼을 통해 결제를 하게 된다.

3. 이커머스 비즈니스 지표 분석

이커머스 비즈니스에서 가장 눈여겨 보는 지표는 '매출'이다. 매출의 규모도 중요하지만 매출을 이루고 있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쪼개봐야한다.

매출은 크게 생각하면 위와 같이 '주문 수'와 '주문 건당 주문 금액'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쉽게 생각하여 '우리가 과연 얼마나 벌었지?'라는 문제를 '몇건 팔았지?'와 '주문 건당 평균 얼마지?'로 나누어보는 것이다.

매출을 '주문 수'와 '건당 주문 금액'으로 나눠야하는 이유는 매출이 변화했을 때 '주문 수'가 변화했을 수도 있고, '건당 주문 금액'이 변화했을 수도 있다.

'주문 수'는 쉽게 생각하면 '우린 몇 건 팔았지?'로 '몇 명이 샀지?'와 '몇 번 샀지?'로 해석해볼 수 있다. 즉 '고객 수'와 '주문 빈도'의 문제이다. 왜냐하면 한 명의 고객이 하나의 제품을 사는게 아니라 한 명의 고객이 여러가지 제품을 살 수 있기에 여러 '고객 수'와 '주문 빈도'를 곱해서 '주문 수'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건당 주문 금액'은 '평균 얼마 정도 주문했지?'로 쉽게 생각하면 '제품을 몇 개 샀지?'와 '제품 개당 평균 얼마인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예시:

주문 8 만원 = 치킨 4마리 * 평균 2 만원

비즈니스 지표에 변화를 줄 때도 우리는 지표 단위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 치킨집 매출을 올려야한다라고 한다면 '매출'을 올려야하지만 매출을 올릴 때 이 매출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가지 요소들에 변화를 주면서 결과적으로 매출에 영향을 미치겠다라고 말할 수 있다. 즉, '매출'을 올리겠다라는 목표는 '주문 고객 수'를 늘리겠다 혹은 고객들이 사는 '제품 구매 수량'을 늘리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배달 치킨집의 매출을 올리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요소를 생각 할 수 있다.

profile
거북선통통통통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