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 분석을 통한 물류 기획 관리 - 재고 관리의 주요 지표

dpwl·2024년 6월 3일
0

Data Analysis with SQL

목록 보기
94/120

1. Inventory Dataset

과거 판매 데이터와 현재 잘 팔리는 활성 재고가 포함된 데이터셋
재고에는 많은 상품들이 있지만, 실제로 판매되는 상품은 많지 않으며, 심지어는 1년에 1번 가량씩 판매가 되기도 함.

  • 분석 목표: 악성 재고 현황을 파악 및 최소화 플랜 수립

  • 우리가 고민해볼 수 있는 포인트

    • Histroical/Active 재고가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되는가?
    • Historical 재고의 추산 가치 (cost)가 얼마나 되는가?
    • 이 재고는 얼마나 오랫동안 창고에 보관되어 있었나? (Aging)
    • 이 재고들을 다 판다고 가정하면 얼마나 시간이 더 필요한가?
    • Historical 재고들에도 등급을 세워 플랜 수립해볼 수 있지 않을까?

2. 재고 관리의 주요 지표

2.1 Inventory Workflow

2.2 Inventory Management

*SKU(Stock Keeping Unit): 재고 관리를 위한 최소 단위 코드

연필의 DOC는 1000/50 = 20일

재고량 / 하루 판매량: 우리의 재고로 며칠동안 판매가 가능한가?
DOC(Day of Coverage)

profile
거북선통통통통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