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와 PC들이 스타형으로 연결되어 있음
한 PC 에서 데이터를 보내면 같은 허브에 연결된 모든 PC 에 전송됨
-> 충돌이 많아지고 네트워크 속도도 느림
MAC 주소와 해당 장비의 포트번호가 기록된 MAC Address 테이블을 보고 해당하는 목적지에 Frame 전송
허브와 달리 특정 포트에만 전송하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음
-> 각 포트가 하나의 Collision Domain 에 있다고 보면 됨
기능
*MAC Address Table : 메모리 CAM (Content Addressable Memory) 에 저장됨.
전송 방식
Transparent Bridging
switch 가 수신한 Ethernet Frame(ARP) 을 보고 MAC Address 테이블을 생성, 갱신하고 목적지로 전송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앞서 설명한 Swtich 의 기능들을 모두 합쳐져 프로토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면 됨
RSTP (Rapid Spanning-Tree Protoco)
STP 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함 (장애 발생 시 복구 시간이 오래걸림 30-50초)
루핑 방지 목적도 있음
간단하게 설명하면, 스위치끼리 통신하며 루트 스위치(세그먼트 모두 DP)를 정하고, 루트 스위치와 빠르게 통신할 경로(RP)를 찾고 이를 제외한 경로(AP)는 닫아놓음
VLAN
Switch 와 연결된 모든 장비들은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에 포함됨
따라서 네트워크 규모가 커질수록 브로드캐스트 발생이 많아지므로 이를 논리적으로 나눌 필요가 있음
이때 사용하는 것이 VLAN (물리적으로 나누는 건 Router)
ex) 포트 별로 구분
VLAN_A - Fa0/1, Fa0/2 (포트 번호)
VLAN_B - Fa0/3, Fa0/4 (포트 번호)
VLAN 설정 전엔 default 로 VLAN 1 에 속해 있음
서로 다른 VLAN 에 속한 장비들은 Router 또는 L3 Switch 같은 3계층 장비 통해서 통신 가능
*Ethernet Header 에 VLAN ID 를 태깅하여 같은 네트워크인지 식별하도록 함
*하나의 케이블에서 여러 데이터를 전송할 때 (PC 데이터 + voice 데이터 (QoS)), 보안을 위해서도 사용함
*L3 스위치는 VLAN 만들어 IP 할당하여 IP 라우트 프로토콜 이용하여 라우팅도 가능한 비싼 장비
기능
Routing Protocol
목적지 네트워크로 가는 경로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함
보통 라우팅 테이블에는 자신과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 정보만 있음. 따라서 프로토콜을 사용해 연결되지 않은 네트워크 정보를 추가함
*각 라우터는 서로 알고 있어야 통신이 가능함
👇 프로토콜 설정 방식엔 두가지가 있음 👇
Static Route
관리자가 직접 목적지 네트워크 정보를 입력하는 프로토콜, 사람이 직업 최적 경로를 찾고 입력함
장점
최적 경로(best path)를 찾기 위해 CPU 사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라우팅 속도도 빠르고, 메모리도 적게 사용함
라우팅 테이블을 서로 교환할 필요가 없어 대역폭 절약 가능, 보안에도 좋음
-> 리소스 절약
단점
관리자가 경로 이상을 인지하고 바꾸기 전까지 라우팅 잘못됨 계속~~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움 (네트워크 변화 감지 어렵, 확작성 별로)
*설정 방법
Router-A(config)#ip route 172.16.1.0 255.255.255.0 172.16.2.1
Dynamic Routing Protocol
설정된 Routing Protocol 알고리즘이 최적 경로를 찾아 테이블에 올림
같은 Routing Protocol 이 설정된 Router 가 서로의 네트워크 정보를 교환하면서 업데이트
종류
장점
네트워크에 변화가 생기거나 장애 발생 시 스스로 경로를 찾아 다른 라우터에도 전송
단점
라우터에 부담을 줌 (CPU, Memory 등이 리소스 많이 사용)
*RIP 설정
route rip
network 192.168.1.0 # 내가 가진 네트워크
network 10.0.0.0 # default subnetmask 만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