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네트워크- (1) 네트워크 구축 + 웹/ vpn서버

손정현·2021년 2월 8일
0

DMZ 네트워크

목록 보기
1/4

DMZ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선 각 서버가 DMZ 네트워크 안에 들어가는지 혹은 내부 네트워크에 들어가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1.. DMZ네트워크의 정의


<구축하려는 서버는 다음과 같다>
일단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서버를 먼저 조금 구현할것이다. 중요한 점은 방화벽은 모두 리눅스 서버를 이용할 것이다.

2.. 웹 서버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WAS)+ 사설 인증서을 이용한 SSL
이번에는 기존과 다르게 단순히 apache서버를 설치하여 웹서버를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SSL을 더할 것이다.

  •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의 차이점.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서 정적인 컨텐츠츠 제공한다. 정적인 컨테츠란 항상 동일한 페이지를 반환한다는 것이다. 반면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기에 주로 DB서버와 같이 수행된다. 사실 WAS서버 안에 웹 서버가 있다. 하지만 이를 분리하여서 설치하는 이유는 정적인 컨텐츠를 WAS서버가 다루게 되면 WAS서버에 너무 큰 부하가 가해지기 때문에 정적인 컨텐츠를 처리하는 웹 서버를 두는 것이 효율적이다.
  • SSL은 예전 포스트에서도 설명했다시피,
    웹 서버인 Apache2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인 Tomcat을 설치한다. 자세한 설치과정은 다음 링크에서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링크텍스트 설정하고 설치할 것들이 많지만 차례대로 따라하면 수행할 수 있다. 저 글과 다른점 하나는, /etc/apache2/ports.conf 파일에서 다른 443포트를 이용하는 IfModule을 삭제하였다. 삭제를 하지 않으면 multiple port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Apache가 재시작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웹 서버를 구현하였다.

3.. VPN Server

  • 리눅스에서도 VPN Server을 구축할 수 있다. 자세한 설치과정은 다음 링크에서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링크텍스트. 이를 통해서 외부에서 VPN 서버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한개 더 생긴다.
  • 과정에서 iptables이 정말 중요하다.

하지만 윈도우 호스토로 연결하면 인터넷 접속이 끊기기 때문에 위의 화면과 같이 외부 호스트에서 내부 서버 대역의 IP를 할당해준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