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를 공부하는데 한 번 실제 데이터를 수집해보고 환경 설정까지 해보고 싶어서 시도해본 내용을 작성해보겠습니다.
원래는 네이버 블로그를 사용하고 있어서 이를 활용해보고자 했지만, 네이버 블로그는 html 편집 권한이 없음을 알게 되었고, 그것이 가능한 티스토리 블로그를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해보겠습니다.
먼저 GA 계정을 생성합니다.
계정을 생성한 후 웹 스트림에 데이터를 수집할 블로그 주소를 넣습니다.
그러면 수집 대상인 스트림이 생성됩니다.
이를 클릭하면 태그 설치 방법이 나옵니다.
직접 설치에 나와있는 코드를 복사합니다.
복사한 코드는 티스토리 html에 넣어야합니다.
블로그 설정에서 꾸미기 > 스킨 편집에 들어갑니다.
여기서 html 편집을 누르고, head 부분에 복사한 코드를 넣고 적용을 합니다.
블로그 화면에서 f12키를 눌러 head 안에 붙여넣은 코드가 위치해있는지 확인합니다.
다시 GA로 돌아가서
이렇게 조회수가 잡히면 데이터가 제대로 태그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새로운 게시글을 올리고 클릭해보니 그 게시물에 대한 조회수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아직 시작 단계라 많은 사용자가 들어올지는 모르겠으나, 일단 데이터 수집을 시작하고 부족한 부분들은 채워가며 ga 공부를 이어가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