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의 기본 이벤트와 사용자 정의 이벤트

나나·2025년 5월 21일
0

Get Started using Google Analytics

GA가 자동으로 수집하는 이벤트

GA에서는 이벤트를 수집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ga4 자동 수집 이벤트ga4 향상된 측정 이벤트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참고하여 link_url 매개변수가 잘 수집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블로그 글에 다른 글의 url을 넣었습니다. ㅎㅎ 😉

  • event name: video_start
  • event parameters: video_title, video_percent
  • user properties: device_category

블로그의 예시도 함께 설명해주었습니다.

누군가 blog를 구독한다면,

  • event: subscribe
  • event parameter: frequency= weekly
  • user properties: country= Mexico, device category = tablet

이라는 정보가 수집되는 것입니다.

또한, GA 리포트에서 볼 수 있는 내용에서 dimension과 metric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untry와 같은 정보가 dimension이 되고, 그 하위 값들은 dimension value가 됩니다.
마찬가지로, users 와 같은 지표가 metric, 그 값이 metric value가 됩니다.

현재 학회에서 분석하고 있는 과제는 매체별 지표이므로, dimension은 매체가 되고 여러 지표들이 값이 되는 것이죠.

Manage GA Data and Learn to Read Reports

GA의 섹션

  1. 홈페이지
    우리의 사업에 관련된 정보를 간략하게 보여줍니다.
    최근에 본 보고서 등의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보고서
    웹사이트의 사용자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사업 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탐색
    더 정교한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는 섹션
  4. 광고
    채널에 거친 광고의 전반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oogle Ads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하나의 계정에 여러 속성을 가지고 있다면

이렇게 속성을 바꿀 수 있습니다.

사용자 생성 이벤트

설정 > 데이터 표시 > 맞춤 정의 메뉴에서 사용자 정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처음이라면 사용자 정의 이벤트를 직접 생성하는 게 어렵거나 망설여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글에서 제공하는 ga4 추천 이벤트를 참고해볼 수 있습니다.

이벤트 설정 방법도 여기서 확인할 수 있어서, 이번에 채용 때 ga 태깅할 때 맞춤 이벤트를 설정해봐야겠습니다.
예를 들면, 지원폼 클릭 이벤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click의 매개변수로도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공유 이벤트도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 아이디어는 AARRR 프레임워크에서 왔는데, R에 해당하는 Referral(추천) 부분을 나타낼 이벤트가 없어 이번 분석에서 아쉬운 점이 있었는데, 이러한 이벤트를 지정한다면 이에 대한 수집이 가능해져 더 깊이 있는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여기서 주의할 점은 커스텀 이벤트는 보고서 섹션에서 보이지 않습니다. 확인하려면 실시간 보고서나 이벤트 메뉴, 탐색 탭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오늘 배운 내용은 직접 적용해볼 수 있는 내용이라 바로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profile
데이터에서 의사결정으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