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뭘 하고 있는지 이번 학기에는 프론트엔드 개발을 잠시 접고 국민대에서 주최하는 다학제 캡스톤 디자인 삼성 트랙에 집중해보려 한다. 앞으로 관심있게 볼 주제는 디지털트윈이다. > 디지털트윈(DT)이란? DT의 핵심은 연결성(connectivity)으로, Io
본격적인 기능 소개에 앞서, Tandem이 어떤 구조와 흐름으로 동작하는지 간단히 살펴보자. Autodesk Tandem은 BIM 모델을 기반으로 건물의 자산 정보를 정리하고,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결해 시각화하며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이다. 단순히
Autodesk Tandem 공식 가이드를 참고해서, 한글로 쉽게 정리했다. ✅ Specify: Classifications, Parameters, Facility Templates 자산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관리하기 위해 3단계 구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 Classifications, Parameters, 그리고 Facility Templates ☑️ ...
Postman에서 Tandem API 호출해보기 Tandem API를 테스트해볼 수 있는 공식 Postman 문서가 있다. https://documenter.getpostman.com/view/15787353/2s9YXk2faD 이 사이트는 View 전용이기 때문에
ESP32에 LED와 스위치를 연결해 간단한 IoT 기기를 만들고, 이를 Autodesk Tandem 기반 웹 대시보드와 실시간으로 연동하는 토이 프로젝트(프로젝트 이름은 StepLED)를 진행해보려 한다. > StepLED 프로젝트 소개 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Re
이제 실제 ESP32 보드의 LED 상태를 실시간으로 Autodesk Tandem에 반영하려 한다. 또한 Tandem에 업로드한 가상 모델을 웹 대시보드에 띄우고, 화면 속 스위치 모델을 클릭하면 실제 스위치가 눌리고 LED 상태가 변경되며, 이 변화가 다시 Tande